세종시 중앙 및 지방 단체장과 선출직 공직자 간 협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강준현 국회의원과 최민호 세종시장, 이순열 시의회 의장, 김형렬 행복청장, 김종민 국회의원. 사진=중도일보 DB. |
국회의원과 세종시장, 행복도시건설청장, 여·야 세종시의원, LH세종본부장 등을 포함한 리더 그룹 간 긴밀한 소통이 적기에 이뤄지지 않고 있어서다. 오히려 정치적 성향에 따라 서로를 밀어내고, 감정적 대립에 소모적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다는 눈총을 맞고 있다. 이 같은 양상은 2030년 완성기를 향하고 있는 세종시 미래에 먹구름을 드리우는 암적 존재로 다가온다.
중도일보 취재 결과 4.10 총선 이후 2개월이 지난 현재, 이 같은 우려는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불편한 동거(?)라도 억지로 하려는 타 지역 정치권과도 대조를 이룬다.
최민호 시장은 새로운 미래 김종민 국회의원,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국회의원은 김형렬 행복도시건설청장을 공식적으로 만났을 뿐, 다른 지역과 같은 한자리 간담회는 요원해 보인다.
어느 기관보다 긴밀한 협의를 필요로 하는 최 시장과 김형렬 청장, 그리고 송종호 LH 세종본부장 간 간담회도 찾아보기 힘들다. 과거처럼 중앙과 지방 정권의 성향이 다르지 않은데도 그렇다. 각종 사업의 상호 이관 과정에서 수시로 부딪혀온 기관 간 정서가 본질적 협력 강화를 가로막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행복청의 미래 존속 시점에 대해서도 양 기관 관계자들은 서로 다른 속내를 갖고 있다.
최 시장과 강 의원은 서로가 서로를 마음으로 밀어내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5월 28일 1년 여 만의 만남이 이뤄지는 듯 했으나 국회 파행 과정에서 미뤄졌고, 오히려 6월 6일 호국보훈의 날 이후 감정적 대립각을 키우고 있다.
강 의원이 이 행사에 참석한 뒤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최민호 시장과 시청 집행부 등을 겨냥한 듯한 글을 올렸고, 국민의힘 세종시당은 6월 13일 이를 정면으로 반박하는 성명으로 맞받았다.
강 의원은 "우리를 앞자리에 앉게 해줘요"란 참전용사 어르신과 대화를 인용, "네. 제가 혼 좀 내겠습니다. 이날의 주인공은 6.25 참전용사"라고 꼬집었다.
이에 국힘 시당은 "행사 시작 후 사진을 보면, 맨 앞줄에 강준현 의원 등이 착석했다. 자신이 앉은 자리는 빈자리로 올린 채, 최 시장과 최교진 교육감, 이순열 의장 등을 한꺼번에 몰아 세웠다. 당시 좌우 부스별로 어르신들을 앞자리에 모시고 행사를 진행했다고 들었다. 어의 없는 유체이탈 화법에 실소가 나온다"고 비판했다.
갑구 김종민 의원과 을구 강준현 의원 역시 중앙당을 의식한 듯, 세종법원·검찰청 설치 현안에 제 각각 대응하고 있다. 법안은 강 의원이 발의했고 법원이 속한 지역구는 김 의원에 해당하는데, 양 의원은 물밑에서 성과(?) 경쟁을 하고 있다는 비판적 시선에 직면하고 있다. 다행스런 점은 김종민 의원과 세종시의원들 간 미팅은 한 차례 이뤄졌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시민사회의 한 관계자는 "민주당과 국힘에다 새미래까지 정당이 혼재돼 있고, 행복청과 세종시 간 특수 관계가 협치를 방해하고 있다"며 "한 마디로 지역의 미래를 이끌어갈 구심점이 보이지 않는다. 말 그대로 협치 노력이 절실한 때"라고 지적했다.
세종시가 직면한 현안들만 봐도, 지역 리더 그룹의 분발과 협치는 절실한 상황이다.
▲금강 세종보를 둘러싼 합리적 선택 ▲GTX 열풍과 부동산 규제 완화 등에 따라 수도권 초집중 구도 되레 강화 ▲국내·외 우수 대학과 대기업 유치 전무 ▲종합운동장 건립 유보 ▲국회 세종의사당과 법원·검찰청, 국립민속박물관 건립 모두 2031년 이후로 연기 조짐 ▲법무부와 여성가족부, 감사원 등 정부부처 및 대통령 직속 위원회의 추가 이전 지지부진 ▲CTX 완공시기 지연과 KTX 세종역 설치 먹구름 ▲국립자연사박물관 건립안의 11년 표류 ▲중입자 가속기 암치료 센터와 글로벌 청년창업빌리지, 디지털미디어센터(언론단지) 조성안 등 대통령 공약 물음표 ▲'세종시=행정수도' 개헌안 7년 간 제자리 걸음 ▲세종시 부동산 경기 침체 회복과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5-1생활권) 정상화 ▲보통교부세 누락분 보전과 LH의 상권 공실 책임 부과 등 개발이익 환수 등이 대표적 현안들이다.
세종=이희택 기자 press2006@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