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30일 세종시청에서 열린 이길섭 시인의 '무성산' 북콘서트 모습. |
시인은 7남매의 맏아들로 1956년 공주시 사곡면 한시랑이에서 태어났다. 숲이 울창한 무성산(614m) 아래 아름다운 전원(田園)에서 살다가 초등학교 6학년 1학기 때 대전으로 전학을 오게 된다. (1968년) 숙부님 댁에서 거주를 하면서 학교에 다녔는데 그건 부친의 높은 교육열 때문이었다.
'시인'과 '수학박사'는 얼핏 생각해도 어울리는 조합은 아니다. 그러나 그의 시집 <무성산>을 읽다 보면 선뜻 이해된다.
'미분방정식 연습시간'//"다음 차례 학생들/교단 위로 나오세요."//칠판에 분필로/5명이 동시에 문제를 푼다./양철지붕 위로 쏟아지는/소나기 소리//p77
이는 5명의 학생이 문제를 한꺼번에 푸는 과정에서 들려오는 백묵이 칠판에 닿는 소리를 '양철지붕 위로 쏟아지는 소나기 소리'로 표현했다, 고 들은 적이 있다. 이 또한 시인에게 잠재되어 있는 풍부한 감수성이 서정적인 시심으로 표출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사실 그는 고등학교 시절 독서를 좋아해서 틈만 나면 셰익스피어, 칸트, 헤겔 등 읽었고, 대전고등학교 문예반 <한모문학동인회>에서 시를 공부했다고 하니까 말이다.
매년 동인지가 발간되면, 동인지 이름을 딴 『석란제』라는 문학의 밤이 열렸다. 그러면 지도교사 국어 선생님이셨던 조남익 선생님은 졸업한 선배 문인들은 물론, 박용래, 한성기, 임강빈 등 지역에서 활동하던 훌륭한 시인들을 함께 초청했다. 그리고 그가 고등학교 2학년 때 조남익 선생님 추천으로 박용래 시인을 개인적으로 만날 수 있었다.
시인을 처음 만나러 갔던 이야기는 오랜 동안 듣는 이들 마음속에 따스함으로 남아있을 정도로 정겹고 뜻깊다. 박용래 시인과는 그렇게 인연이 되어 얼마간 시를 짓고 합평 받았다.
그런데 시인에게는 아픈 상처가 있다. 엄마 뱃속에서 9개월 만에 조숙아로 태어난 것이다. 그로 인해 시력이 0.3으로 많이 낮았다. 대학 진학에도 큰 걸림돌이 된 것은 당연했다. 의대는 생각할 수도 없었고, 고민 중에 부친께서 눈도 나쁘고 하니 약대를 지원해서 약국을 하면 어떻겠냐고 권해주셨다. 그래서 충북대학교 약대를 지원 했지만 통과하지 못했다. 시험을 잘 보았는데 왜 떨어졌는지 처음에는 알 수가 없었다고 한다. 나중에 생각해 보니 시력이 현저히 나빠서인 것 같았다고 허탈하게 웃었다.
2차 지원은 대전 한남대학교 수학과를 선택했다. 대학교 때는 오직 전공과목에 매진했다. 대학교 2학년 때 충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님 권유로 독일 유학을 준비할 때였다. 인생은 새옹지마라더니, 그는 서울에 있는 <독일문화원>으로 독일어를 배우러 다니던 중 청천벽력 같은 암초를 만났다. 9개월 미숙아 후유증으로 오른쪽 눈 시력이 나빴던 시인은 그동안 차츰 눈이 더 나빠져서 마침내 오른쪽 눈이 실명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그는 굴하지 않고 꿋꿋이 나아갔다. 독일 유학도 포기하고 온 힘을 다해 공부했다고 그때를 회상했다.
정말 천재는 우연히는 없는 것 같다. 한쪽 눈만으로 그는 피눈물 나는 고생을 하면서 대학교를 졸업했다. 그리고 교수님의 권유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을 마치고, 박사과정은 전액 장학생으로 입학했다. 전액 장학금은 물론이고 그 당시 1년에 50만 원을 부상으로 받았다고 한다. 그뿐만 아니라 고대 박사과정 입학과 동시에 본교인 한남대학교 수학과 전임교수로 발령을 받고 교단에 섰다.
한남대 수학과 교수로 40년 가까이 봉직한 이길섭 교수. 그는 정년퇴직과 함께 문득 잊고 있던 시인의 삶이 떠올랐다. 대전고교 학창 시절 시인에의 열정을 다시금 불러온 것이다. 그는 시인 이길섭으로 새로운 인생을 시작했다. 그 길을 열어준 건 동인지 《세종시마루》였다.
《세종시마루》는 2021년 하반기 7호를 통해 수학박사 이길섭 교수를 시인으로 변신시켰다. 그는 '미분방정식 연습시간' 외 6편의 시를 고향에 대한 아련한 향수를 자극하는 온화하고 서정적인 언어로 담담하게 그려냈다.
시인 김백겸·이은봉, 평론가 김영호가 맡았던 심사는 "산업화 이전 가난하지만 자연친화적이고 인정 넘치던 농촌공동체에 대한 그리움을 맑고 고운 서정으로 그려냈다"고 평했다. (심사평 인용)
그는 "평생 수학과 함께 살았고 늦게 돌아온 일이지만 최선을 다해 우리 세대가 갖고 있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 아닌 다짐을 했다.
이제, 시작이다. 늦게 시작한 시인의 길이지만, 가슴 안에 뿜고 있는 뜨거운 열정으로 시세계를 달궈줄 것을 기대해 본다.
민순혜/수필가
민순혜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