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는, 정부의 새로운 도시재생 정책 핵심인 "선택적 집중"에 부합하는 '인천시 도시재생 정책 수립' 및 '지역 맞춤형 재생사업을 통한 원도심 균형발전 정책'이다.
'2030 인천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수립을 통해 "도시재창조, 활력 있는 인천" 비전을 제시하고 ①거점공간 혁신 ②인천다움 특화 ③거주환경 개선' ④인천 미래 가꿈' 등 4개의 실행목표를 정했다.
인천시는 기존 도시재생활성화지역 44개소에서 재개발 후보지 선정과 주택전면개량 등을 원하는 6개소를 해제한 38개소로 재정비하고, 22개소를 신규 지정해 총 60개소를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으로 지정했다.
신규 지정된 지역은 경제거점 조성 및 일자리를 창출하는 혁신지구 등 경제기반형 3개소와, 지역 고유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도시브랜드화 및 중심·골목상권 활성화 등을 통해 쇠퇴한 원도심을 강소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근린재생형 19개소로 총 22곳이다.
또한 인천시는 도시재생활성화 지역의 지속 관리를 위해 '인천시 도시재생사업 사후관리조례 제정(안)'을 준비 중이다. 이를 통해 주민공동 이용시설의 관리주체를 명확히 하고, 재정적인 어려움이 없도록 예산을 지원하는 방안을 포함해 사업 지속가능성을 높일 예정이다.
두 번째 원도심 정책은,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 정책이다. 시는 지난해 6월 '인천 원도심 역세권 활성화 방안 수립용역'을 착수해 지역·주거·상권 활성화를 모두 아우르는 역세권 활성화 용역(용역비 5억 3600만 원)을 추진 중이다. 아울러 벤치마킹 및 국내·외 전문가 자문회의를 거쳐 역세권을 중심으로 공원 등 근린생활시설을 연계하는 혁신적인 계획안을 도출하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으며, 용역은 올해 6월에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역세권 활성화 정책의 핵심 전략은 ①공간혁신(거점시설 입체복합화를 통한 집객력 및 자족역량 강화) ②생활혁신(노후·저층주거지 복합주거공간으로 삶의 질 향상) ③교통혁신(역세권 보행중심 환경구축 및 환승서비스 확대)이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정부의 신규 공간혁신제도 적극 활용, 민간개발 유도를 위한 '인천시 역세권 활성화 조례 제정(안)'등 다각적인 사업화 방안을 마련해 원도심 혁신 동력을 창출할 계획이다.
최도수 시 도시균형국장은 "이번 도시재생 전략계획은 2016년부터 현재까지 4578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해 추진 중인 26개 사업의 도시재생 지속성 유지에 기여할 것이며, 활력을 잃은 역세권에 대한 혁신적 제도개선으로 인천의 미래가치가 크게 기대된다"고 말했다. 인천=주관철 기자 orca2424002@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