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주택 매매가 전망조사(좌측), 2023년 하반기 전망 조사 결과(우측) |
정부의 규제 완화와 금리 인상 기조 둔화 등도 상승 요인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집값 하락 전망이 우세해 향후 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쏠린다.
10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자사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1000명을 대상으로 올해 하반기 거주 지역 주택시장 전망을 조사한 결과, 31.9%가 상승한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말 상승(10.2%) 전망보다 21.7%포인트 늘었다.
주택시장 하락 응답 비율은 45.9%로 크게 줄었지만, 여전히 하락이 우세했다. 작년 말 조사한 올해 집값 전망 설문에선 하락이 77.7%로 압도적이었다. 이번 조사에선 하락 전망이 급감했다.
보합은 22.2%로 작년 말(12.1%)보다 줄었다.
지역별로는 지방 거주 응답자의 '하락' 전망이 48.2%로 가장 높았다. 이어 서울(47.7%), 인천(46.2%), 지방 5대 광역시(45.3%), 경기(44.3%) 순이었다.
상승 전망 응답 비율도 지방(33.1%) 거주자가 많았다. 서울(32.6%)이 뒤를 이었고, 경기(32.1%), 지방 5대 광역시(30.9%) 순으로 나타났다.
주택 가격 하락 전망 이유로는 경기침체 지속이 32.5%로 가장 높았다. 현재 가격 수준이 높다는 인식(23.7%), 기준금리 동결 기조지만 금리가 높다는 인식(18.7%), 전셋값 약세로 인한 매매매물 출시(11.5%) 등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주택 매매가격 상승 전망 이유는 저점 바닥 인식론 확산 기대가 20.7%로 가장 많았다. 이어 정부 규제 완화(20.1%), 금리 인상 기조 둔화(15.4%), 매물 거래로 인한 실수요 유입(11.9%), 경기 회복 기대(11.3%)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전셋값은 45.6%가 '하락'을 점쳤다. '보합'은 27.8%, '상승'은 26.6%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지방 5대 광역시 54.0%가 하락을 꼽았고, 경기(46.2%), 인천(43.1%), 지방(42.4%), 서울(42.3%) 순이었다.
전셋값 하락 이유로는 27.6%가 '전세 사기, 임차보증금 반환 리스크 확대'를 지목했다.
갭투자 관련 전세매물(역전세 등) 증가(25.7%), 최근 몇 년간 전세가격 급등으로 현재 가격이 높다는 인식(19.1%) 등도 주요 원인으로 전망했다.
박병주 기자 can790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