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서정을 화폭에 담은 제18회 바끄로(회장 정연호) 회원들의 정기전이 문을 열었다. 19일(월)까지 전시된다.
이번 18번째 여는 정기전에는 71명의 작가가 참여해 한국화, 유화, 수채화, 서각, 공예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선보였는데 작가들 대부분이 중견작가들이라 그런지 화폭에 담겨있는 의미도 다양했다.
정연호 회장은 "일상생활에서 틈틈이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고 창작의욕과 열정으로 작업에 정진하여 이렇게 전시회를 열게 됨을 대단히 기쁘게 생각한다"며 "이번 전시회가 회원님들의 삶에 의미 있는 가치가 부여되고 많은 관객들과 함께하는 나눔의 장이 되어 평온하고 여유로움을 찾아가는 여정이 되길 소망한다"고 말했다.
노덕일 중구문화원장은 "바끄로전은 우리 화단의 보배 정연호 회장을 중심으로 70여명이 회원들이 대전 미술계를 이끌고 있는 훌륭한 단체"라며 "'바끄로'는 '밖으로' 나가서 그림을 그리자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바끄로'라는 음성적 표현을 고유명사화해서 단체 이름으로 하였다"라고 말했다.
전 중구청장과 국회의원을 역임한 이은권 님은 "미술은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예술의 한 분야이다.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은 시대마다 변화해왔지만, 우리는 계속해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며 살고 있다"라며 "여러분들은 이러한 인간의 아름다움에 대한 본능적인 욕구를 충족시켜주며 현대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이같이 말했다.
이날 김정수 화백과 함께 이 전시회를 둘러본 필자의 눈에 다가온 그림이 몇 점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윤은아 화백의 '닭치고' 라는 그림.
윤은아 화백의 '닭치고' |
두번째 시선을 끄는 이 그림, 송인선 화가의 '별 하나 없는 밤'.
송인선 화가의 '별 하나 없는 밤' |
다음으로 시선을 끄는 작품, 정연호 회장의 '영원한 사랑'
정연호 화가의 '영원한 사랑' |
화폭에 담은 도자기 또한, 태토만으로 성형하여 구웠는지 알 수 없었고 유약을 발랐는지도 알 수가 없었다 .달랑 도자기 한 점에 이곳 저곳 덧칠을 했기에 미술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필자로서는 머리를 갸웃거리지 않을 수 없었다. 다음에 다시 만나 차 한잔 나누며 추상화 같아 보이는 이 그림에 대하여 더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
다음으로 발길이 닿은곳이 이주영 화가의 '마음을 담다'
이주영 화가의 '마음을 담다' |
색에는 시대나 문화를 초월한 공통의 이미지가 있는데 색에는 각각의 특징이 있고 우리의 심리와 행동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한다. 따라서 요즘은 인간의 감정까지도 컬러풀한 시대인 것이다.
이주영 화백이 사용한 빨강색은 원초적인 외침, 활력, 정열, 흥분 등 강한 에너지가 있다. 의욕이 넘칠 때, 의욕이 있기를 바랄 때, 자신감을 가지고 싶고 자기 자신을 어필하고 싶을 때, 에너지가 흘러 넘치거나 보충하고 싶을 때 빨강색을 사용하고 자신의 감정을 표현한다. 이날 전시회 개관식을 하던날도 이주영 화백은 빨강색의 원피스를 입고 왔다. 공격성, 분노 등의 부정적인 이미지가 아닌 정열적이 모습으로 다가왔던 것이다. 그래서 사랑하고 싶은 여인. 이주영 화백. 그만 해두자. 자꾸 이 화백쪽으로 시선이 쏠리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시선이 끌린 곳은 임문희 화가의 '눈물 한 방울'.
임문희 화가의 '눈물 한 방울' |
가수 이유진은 '눈물 한방울로 사랑은 시작되고'로 1984년 제8회 MBC대학가요제에서 대상을 수상했다.
임문희 화가도 이 그림 '눈물 한방울'을 현상공모에 내보내면 대상을 찾이하게 될 것이다. 왜냐고? 그대 지적인 미모의 여인이 흐르는 눈물이기에 그렇다는 것이다. 역시 사랑하고 싶은 여인 임문희 여인. 그 아름다운 미모를 영원히 간직하기 바란다.
다음으로 발길이 닿은 곳이 김창유 화가의 그림, '꽃향기에 마음을 싣고'.
김창유 화가의 '꽃 향기에 노래를 싣고' |
낮에는 꽃잎을 열고, 밤에는 잠을 자는 것처럼 꽃잎을 오무리는 튜울립의 비밀. 그 비밀을 김 화백은 알고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자줏빛 튜울립 한다발을 금관악기에 담아 사랑하는 임에게 보내려 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시선을 그는 이 그림. 이미진 화가가 그린 '어느날 봄'
이미진 화가의 '어느날 봄' |
창의적인 사람은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을 세상과 연결하는 경험을 즐긴다고 한다.
존 홀트는 "인간의 지적능력은 얼마나 많은 방법을 알고 있느냐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뭘해야 할지 모르는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하느냐로 알 수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얼굴도 모르는 이미진 화백. 그는 독서를 통해 어떤 모습으로 살아갈지를 생각하는 여인이었을 것이다.
그만 자고 어서 일어나 읽던 책을 마저 읽으시지요.
김용복/ 평론가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