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뱅크. |
조합장 선거 직선제 도입 후 35년이 흘렀지만, 아직도 과거의 관습에 머물러있다는 지적이다. 과거 임명제였던 조합장은 1989년 직선제 도입 후 2005년 선거관리위원회에서 위탁하도록 개정됐다. 그런데도 조합원에게 금품·향응을 제공하는 '돈 선거'는 근절되지 않고 있다.
또 후보자의 선거 운동이 제한되며 민원을 이유로 조합원을 자주 만나는 현직 조합장과 조합 직원이었던 후보자가 유리할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예를 들어 조합장 후보자는 조합원 연락처를 알 수 없는데, 현직 조합장과 조합 직원은 비교적 손쉽게 투표권을 가진 조합원의 연락처를 알 수 있다. 실제로 지역에서도 조합 지점장·직원 출신이었던 후보자나 조합장이 여럿 있으며, 지역 최초 10선 조합장에 도전하는 후보가 있는 등 현직 조합장의 다선도 계속됐다.
전문가들은 조합원이 조합경영 전반에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남기포 농협대 교수는 "오랜 기간 조합 경영에 참여한 조합원이 조합장이 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며 정치인 출신 조합장을 가장 부정적으로 본다"며 "하지만, 현재 조합원·교육 시스템 부족으로 조합원들이 신용사업 등 조합 경영에 미숙한 점이 있어 이들이 전문성을 키울 수 있도록 조합원을 사업 계획·결산 등 조합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시켜야 한다"고 했다.
조합장 선거 때마다 선심성 공약이 난무해 조합원 인식개선도 요구된다.
지난 선거 때도 업무추진비 조합원 환원, 입원·치료비 지원과 조합원 자녀 장학금 확대 등 복지 공약이 자주 보였다. 익명을 요청한 농협 관계자는 "조합장 선거 때마다 배당금 지급이나 건강 상품권 등 복지 공약이 우후죽순 보인다"며 "조합원에게 배당금을 무분별하게 지급하며 정작 농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 재투자할 돈은 부족한 것이 조합의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이유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