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뿐만 아니라 지방대학도 위기다. 학령인구 감소 등의 사유로 통합을 논의하거나, 학과 개편 등 살아 남기 위한 각종 전략을 펼치고 있다.
지역과 지방대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자체와 지역대학이 손잡고 추진하고 있는 게 '대전·세종·충남(DSC) 지역혁신플랫폼'이다. 대전시, 세종시, 충남도가 충남대, 공주대, 순천향대 등 24개 대학과 함께 미래 모빌리티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 나간다. DSC 공유대학 등 운영해 모빌리티 분야 인재를 양성하고, 신산업 기술고도화 및 기업지원 등을 통한 지속 가능한 지역혁신 생태계를 구축하는 게 주된 목적이다.
하지만 2022년 DSC 공유대학의 첫 모집의 결과는 아쉬웠다.
충남대, 한밭대, 공주대 등 일부 대학에서만 지원자가 나온 데다, 총 24개 참여 대학 중 6개 대학에선 지원자가 한 명도 나오지 않았다. DSC 공유대학이 모빌리티 분야와 관련된 학과로 이뤄져 있기 때문이다. 비교적 이과 계열이 많은 대학에선 지원자가 많았지만, 문과나 다른 특성화 대학 학생들이 참여하기엔 어려운 실정이다.
게다가 지원자 중 전문대 학생은 단 한 명도 없었다. 2년제 학사 이수 교육과정을 밟는 학생들이 공유대학에 참여하기 위해, 졸업을 한 뒤 편입 형식으로 참여해야 한다. 취업을 목적으로 2년제 전문대에 입학한 학생들에게 편입 형식을 기대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DSC 공유대학 측은 지원 대상을 문·이과 학생으로 제한하지 않았기에, 모든 학생들에게 문은 열려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대 학생들도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하지만 정말 문이 열려 있다고 생각하는 걸까. 취업난인 상황에서 3학년 학생이 자신의 전공과 무관한 모빌리티 분야의 공유대학을 선택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 제한을 하지 않았다는 말로 변명하고 있지만 결국엔 DSC 공유대학의 문은 좁다는 걸 인정해야 한다.
DSC 플랫폼은 미래 모빌리티 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공유대학의 학과가 이과 계열일 수밖에 없다곤 하지만, 당초 계획했을 때 이과 계열에 집중된 대학만을 놓고 사업을 구상한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도 들긴 한다.
DSC 플랫폼은 2022년이 사업 1차 연도인 만큼 사업 성과와 실적 등을 분석해 2차 연도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일부 대학을 제외한 대다수 대학 학생들에겐 좁은 문인 DSC 공유대학이 변화할 수 있을까.
김소희 경제교육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