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경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전력부품연구실 박사 |
전 세계적으로 고용 없는 성장과 일자리 창출 정체현상이 지속됨에 따라 지금까지 우리 경제의 고속 성장을 주도해 왔던 대기업의 일자리 창출에서도 정체현상이 개선되지 않고 있다. 고용증대와 경제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지난 20년 동안 벤처와 창업 열풍 시대를 우리는 거쳤다. 하지만 여전히 기대 수준에 아쉬운 게 사실이다.
정부는 과거의 창업 성격과 달리 혁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기술창업이 기존시장을 대체하거나 규모를 확장시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고용 확대와 성장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자원을 투입해 창업을 장려하고 있다. 거대 신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미래의 '기술창업' 기업들이 만들어지고 성장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 등 우리 경제 주체들의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도 대단하다.
정부와 창업진흥원 등 관련 기관에서는 'K-스타트업' 프로그램을 통해 혁신기술과 전문성이 뛰어난 대기업, 공공연구소의 연구진들에게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해 적극 지원 중이다. 전국 27개 중장년기술창업센터에서 사업 아이디어 검증, 실전 창업교육, 입주 및 코워킹, 네트워킹 공간 제공뿐만 아니라 국가 과제와 연계해 지속적인 지원을 하고 있다. 아울러 KAIST 등 과학기술특성화대학 등에서도 기술창업교육센터를 운영하며 창업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또한 대학에 기술창업 MBA 과정도 생기면서 기술창업 단계, 현장의 사례 등 창업에 대한 체계적인 실전형 교육과 훈련을 받을 기회도 생겼다. 최근 중소벤처기업부는 중소기업정책심의회에서 오는 2023년까지 3년간 신산업 창업기업에 창업예산을 40% 이상 집중 투입해 매년 28만 개의 기술창업기업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필자가 바라보는 '기술창업'은 연구 현장의 경력, 네트워크, 기술 전문성을 보유한 교수나 연구진들이 혁신기술과 아이디어를 주 무기로 창업하기 때문에 기존 다른 창업과 비교해 특별하다. 기술창업은 기술사업화까지의 시간 단축도 가능하고 이로써 창업 성공률도 훨씬 높다. 따라서 기술창업이야말로 신산업 분야의 기술 및 신시장 선점을 통한 경제 활성화에 최적 대안일 것이다.
전 세계가 함께 2050년 글로벌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 중이다. 이러한 노력을 달성하기 위해선 고효율 탄소 저감용 소재·부품·장비기술 또한 필수적이다. 예컨대 전기·수소·자율자동차, 신재생에너지, 스마트시티나 팩토리 등 다양한 신 산업 분야에서도 질화갈륨(GaN), 탄화규소(SiC), 산화갈륨(Ga2O3)과 같은 차세대 고효율 전력반도체는 핵심부품으로 꼭 요구된다. 따라서 창업을 강조하는 정부나 기관 입장에서는 미래의 새로운 수요에 적극 눈을 떠야 한다. 새로운 기술창업의 시장이 전 세계적으로 크게 열리기 때문이다.
다가오는 미래에 적극 대응하는 자세는 고효율 전력반도체의 기술 주도와 거대 신시장의 선점이 될 것이다. 이를 통해 질 높은 일자리 창출 및 지속적 경제성장도 담보할 수 있다. 탄소 저감과 새로운 미래시장에 대한 '기술창업'의 활성화를 위해 정부·공공기관·대학 등 관련 기관의 의지와 노력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분위기와 환경조성이 더욱 요구된다. 이참에 창업 관련 규정에 문제가 없는지 살펴보고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더 많은 성공 창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창업환경 재정비에 힘쓰고 블루오션이 될 수 있는 차세대 전력반도체 시장 대응에 발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 문재경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전력부품연구실 박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