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명품 매장이 대전에 올 것이냐도 상당한 관심사지만 지역에서는 '몇 개의 로컬매장이 신세계 문턱을 넘을 수 있느냐'에 촉각을 세우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지역상권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로, 대전시는 또한 지역 상생안을 구체화할 대안과 정책으로 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봤다.
4월 중순 기준, 사콤 공정률은 80% 훨씬 웃도는 수준으로 내·외부 막바지 공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신세계는 이에 발맞춰 입점 업체 구성에 착수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시설의 윤곽은 이미 나왔다. 43층 높이의 타워동은 호텔과 근생 시설인 병원과 약국, 전망대를 조성한다. 포디룸은 수족관과 식품관, 백화점, 접객시설로 나뉜다. 이 밖에도 신세계 갤러리, 메가박스, 사립과학관, KAIST 과학관, 사이언스 홀이 들어선다.
이 가운데 지역 상생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시설은 병원과 약국, 접객시설 층과 식품관이다. 서점과 지역 작가들이 참여할 수 있는 문화시설도 상생의 기대하는 분야다.
지난해 6월 오픈한 프리미엄 현대아웃렛의 경우 복수분식과 카페 인터뷰, 로컬푸드(한밭가득)가 입점했다. 관평동 상인회가 운영하는 식당도 식품관으로 입점하면서 나름의 상생을 실현했다는 평가다. 다만 서점의 경우 청주에 본사를 둔 '휘게문고'가 입점하며 지역서점 업계의 반발이 거셌다.
사이언스콤플렉스 조감도. |
대전의 소상공인단체 관계자는 "신세계가 오픈하면 대전 유통업계에 큰 파장이 예고된다. 대형뿐 아니라 중소유통업체까지 영향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은 있는지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현재 대전시는 신세계 측과 두 차례 협의를 마친 상태다. 지금까지는 유성구 인접 지역 협력사업을 논의하는 중으로, 대전-자치구-신세계-상인회가 함께하는 협의체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는 입점 초기뿐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상생을 조율하겠다는 의미다.
대전시 관계자는 "지역기여도를 강제화하고 의무화할 수는 없다. 다만, 대전의 랜드마크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지역상권과 어우러질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제시해 왔고 앞으로도 요구하겠다"고 했다.
다만 일각에서는 프리미엄 초대형 유통시설에 로컬매장이 입점하는 것을 두고 '양날의 검'으로 바라보기도 한다. 사콤이나 현대아웃렛은 대전 시민만이 주요 고객이 아니기에 시행사 측에서는 프리미엄 수준에 해당하는 업체를 들여오는 것에 사활을 걸 수밖에 없고, 반대로 타 지역민이 대전 로컬 업체를 한 곳에서 만날 수 있다는 메리트를 제공하는 것도 좋은 선택지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세계 관계자는 "현재 지역업체를 찾아다니고 면담하는 중이기 때문에 세부적인 것까지 말씀드릴 수 없지만, 지역상생을 위해서는 최선의 노력을 하고 있음을 알아달라"고 말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