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대전은 위기이자 기회를 맞았다. 대전은 1905년 경부선 대전역과 1913년 호남선 연결 철도로 인해 근대 도시의 기반을 형성하고 1970년 경부고속도로와 호남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교통, 물류의 중심도시로 성장했다. 이를 바탕으로 대전은 1973년 대덕연구단지 건설, 1993년 엑스포 개최, 1997년 정부청사 이전 등을 통해 과학기술과 지식기반 도시로서의 혁신 토대를 만들었다. 하지만, 인근에 세종시 조성과 수도권 과밀화 등으로 성장 동력을 상실했다. 이런 가운데 허태정 대전시장은 최근 시정 연설에서 "2021년은 대전이 한국판 뉴딜의 심장이자 혁신성장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며 목표를 제시했다.
이에 중도일보는 국가균형발전 선도모델과 4차산업혁명특별시 완성을 통해 혁신성장 거점으로 거듭나는 대전시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지난 2019년 1월 대전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 모습. 사진제공은 대전시 |
② 대덕특구 활용한 4차산업혁명특별시 완성
대전은 명실상부한 '과학도시'다. 4차산업혁명 특별시를 표방하면서 대덕특구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혁신성장을 이끌어 갈 준비를 하고 있다.
대전은 올해 과학 전담 조직신설과 과학특보에 이어 과학부시장제 도입 등 과학기반의 행정거버넌스를 구축하면서 과학도시 대전의 정체성 확립에 주력했다. 또한, 대덕특구 재창조를 위한 마스터플랜을 구체화하고, 융합연구혁신센터 등 5개 선도사업을 가시화하고 있다.
대전 인구는 2014년 7월 153만6349명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이후 감소세로 돌아서 2018년 2월 150만명이 무너진 데 이어 현재까지 인구 감소세가 꾸준하다. 인구가 줄면서 지역경제 성장세도 한풀 꺾였고, 도시 전체가 정체됐다.
이런 상황에서 대전시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4차 산업혁명 전진기지로 육성하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연구 기능 위주로만 집적화해 있던 대덕특구를 고밀도 도심형 혁신공간으로 탈바꿈해 연구개발 성과물이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는 전략이다.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완성은 허태정 대전시장의 1호 공약이자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 하다.
대전시는 오는 2023년 대덕연구단지 출범 50주년을 앞두고,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시는 4차 산업혁명시대 국가 경제성장의 혁신거점으로 재창조할 계획이다. 대덕특구의 미래 50년 비전과 실행계획을 담은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 마스터플랜'을 수립 중이다.
이와 함께 융합연구혁신센터, 테마형 스마트시티, 정부출연연 오픈플랫폼, 공동관리아파트 부지개발 등 4개 선도사업을 추진 중이다.
또한, 미래 먹거리 신성장 사업 육성도 주력하고 있다. 바이오메디컬분야 규제자유특구를 조성해 바이오산업에 힘을 실어주고 있으며, 나노소재, 수소산업, AI산업 등 다양한 신성장 사업에 적극 지원하고 있다.
대전시는 첨단기술 실증화로 스마트시티 조성 가속화에도 힘을 쏟고 있다. Re-New 과학마을과 대덕과학문화의거리 등 대덕특구의 관문에 첨단기술을 개발, 실증화·고도화하고 적용·확산할 수 있는 테스트베드 구축에 나서고 있으며, 스마트시티 챌린지 2단계 사업도 적극 나서고 있다.
4차산업혁명특별시 대전이 제대로 이뤄지려면 대덕특구 기관들의 협업와 정부의 전폭적 지원을 이끌어내야 한다. 대전시가 그동안 과학부시장제 도입 등 행정거버넌스를 구축한 것도 대덕특구 기관의 소통·협업을 중요시 생각하기 때문이다. 대전 과학기술 역량을 모으고, 지역혁신 성장이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4차산업혁명특별시 성공의 첫걸음이다.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의 국가 어젠다 채택도 중요 과제다. 단순한 대전시 현안 사업이 아닌 국가의 혁신 역량을 끌어올리는 사업이라는 논리 개발과 여론 형성이 중요하다.
문창용 시 과학산업국장은 "대덕특구 재창조 사업은 대전이 혁신적인 과학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키를 쥐고 있다"면서 "앞으로 국가 어젠다로 채택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한편 범부처 전담팀이 가동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문 기자 ubot1357@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