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욱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
지성의 대이동이 인류 역사에 큰 변화를 가져온 사건이 처음은 아니다. 이미 1930년대에 유럽의 지성들은 이탈리아와 독일의 파시즘을 피해 대서양을 넘어 미국으로 대거 이주했다. 그곳 신천지에서 고국에 남았더라면 결코 얻을 수 없었을 훌륭한 업적을 많이 남겼다. 세계대전 후 미국의 눈부신 발전에 이들의 공헌이 지대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 대(大) 이주도 20세기 초·중반기의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지만 모든 분야에 걸친 망명자 수가 2000여명 정도라고 하니 20세기 말 소련 붕괴에 따른 인재 이동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일지 짐작할 만하다.
정확한 자료를 찾기는 쉽지 않지만 미국으로 이주한 러시아 과학자는 소련 붕괴 이후 10년간 대략 1만 명 정도라고 한다. 유럽에서는 독일로 이주한 과학자들이 가장 많았다. 독일의 친 이민 정책의 영향도 있었지만 통일 전 동독이 러시아어를 사용한 데다 통일 후에도 그 지역에 많은 연구소가 운영된 점도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역사의 아이러니는 20세기 초 가장 많은 두뇌를 떠나보냈던 독일이 60여년 후에 가장 적극적으로 러시아 과학자들을 받아들이면서 다시 황금기를 누리게 됐다는 사실이다.
1993년 초 필자는 막 대학원을 졸업하고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발을 들였다. 필자는 가속기로 빛을 발생시키는 분야를 연구했는데 그 분야에서 러시아는 수적으로는 열세였지만 서방의 누구와 비교해도 뒤처지지 않는 최고의 능력을 가진 과학자와 공학자들을 보유하고 있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단절돼 있었던 탓에 극소수의 대표 과학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서방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 당시 미국에서 독보적이었던 노 과학자가 새로운 개념이 담긴 논문을 발표한 적이 있었다. 노 과학자의 회심의 논문은 나에게도 당시 교과서와 같은 존재였다. 그러나 나중에 러시아 과학자들을 만나서 알게 된 놀라운 사실은, 그들은 이 논문이 발표되기 이전에 이미 그 개념을 바탕으로 실제 장치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그렇게 별처럼 반짝이던 러시아 과학자들은 본인들이 지도하던 학생보다도 훨씬 더 한심한 초짜 연구원인 필자와 대전에서 공동연구를 수행할 수밖에 없었다. 그 시절 러시아 정부는 연구소 운영비를 댈 수 없어 문 닫는 연구기관들이 속출하고 있었다. 그나마 경쟁력이 탁월했던 일부 연구소는 외국 연구기관으로부터 용역을 수주하며 근근이 버틸 수 있었다. 필자가 만났던 과학자들이 이에 해당했다. 역사가 잉태한 그들의 비극이 적어도 내게는 짧은 기간에 도약할 수 있는 엄청난 기회였던 것이다. 나의 스승이었던 그 분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스스로 친구로 자처했고 어렵고 힘든 문제가 생길 때마다 망설임 없이 함께 해결해 주었다. 그 분들 중 일부는 아쉽게도 이미 돌아가셨다. 초짜 연구원이었던 필자도 어느덧 첫 만남 속 그 분들만큼 나이가 들었다. 돌이켜보면 러시아발 과학 지성의 대이동이 비록 우리나라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필자에게는 과학자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기회와 인연을 만들어 주었다. 정영욱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