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라 구트만 지음, 김유경 옮김, 르네상스, 2019. |
'엄마'라는 단어를 보면, 나를 낳아주신 엄마를 떠올리기 보다는 아이의 엄마가 된 나 자신을 먼저 생각하게 된다. 좋은 엄마가 되어볼까 하는 생각으로 읽기 시작했지만, 이 책은 자녀를 건강하고 행복하게 키우는 방법이나 좋은 엄마가 되는 비법을 알려주지 않는다. 그보다는 '건강한 내가 먼저 되어야 좋은 엄마가 된다'는 걸 알려준다.
심리학 관련 책들을 읽고 이야기들을 나누다 보면 전에는 들어보지 못한 생소한 용어를 의외로 자주 듣게 된다. 그 중에 하나가 '원 가족'이라는 말인데, 개인이 태어나서 자라 온 가정, 혹은 입양되어 자라 온 가족을 말한다. 결혼을 해서 새로 생긴 가족을 생식 가족이라고 하는데, 생식 가족이 생겨 그 안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원인 중에 하나가 원 가족에서 기인하기도 하고, 본인의 성격 형성이 완성된 지금까지도 원 가족에서의 경험이 미친다는 사실을 새롭게 알게 됐다.
이 책을 읽으면 생식 가족을 이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원 가족에 속한 듯이 행동하는 나를 돌아보게 된다. 우리가 태어나 어머니와 가족들의 관찰에 의해 이야기를 듣고 자라면서 불리게 된 모습으로 하나의 '배역'이 형성되는데, 꽤나 오랫동안 혹은 평생 동안 이 배역에서 벗어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어린 시절을 되돌아보면, 나의 배역은 '해결사'였다. 바쁜 집안의 막내로서 혼자서 알아서 해야 할 일들이 많았다. 엄마는 지금의 나처럼 적지 않은 나이에 어린 나를 키우면서 일상에 찌들어 말없이 그늘지곤 했었다. 내 아이의 원 가족에게는 쇠털같이 많은 날들이 있으니, 남산 타워에 오를 날들도 망원경에 오백 원을 넣을 기회들도 많겠지. 그 시간들이 조금 더 가볍고 밝은 날들이 되도록, 조금씩 가면을 벗어내고 맨 얼굴의 나 자신과 만나는 시간을 갖게 되길…
희망의 책 대전본부 회원 정남수
희망의 책 대전본부 회원 정남수.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