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부 우창희 부장 |
네이버는 디지털 상에서 하루 3000만 명이 넘는 사용자를 확보하고 있다. 국내 사용량으로 계산해 보면 70%가 넘는 수치다. 10명 중 7명이 네이버를 사용한다. 이로 인해 디지털의 독과점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뉴스편집 방향과 선별에 사용자들이 영향을 받는 것이다.
네이버 메인페이지와 뉴스 메인 등을 살펴보면 서울에 근거지를 둔 중앙뉴스와 인터넷 매체 들 뿐이다. 지역민의 삶과 밀접한 뉴스를 생산하는 지역신문은 찾아볼 수가 없다. 지방자치와 지방분권을 위한 공론의 장도 없다. 국민 절반 이상이 지역에 살고 있지만 네이버 뉴스 안에서는 서울공화국이다. 지역뉴스는 사건·사고 외에는 뉴스리스트에 올라오지도 못한다. 지역 언론이 위축되면 여론의 다양성에 영향을 받는다.
지역 언론은 포털에서 홀대받는 현실을 바꾸기 위해 지속해서 노력해 왔다. 본격적인 활동은 지난해 10월 한국지방신문협회의 '지역 외면하는 포털' 릴레이 기고로 시작됐다. 이후 올해 ▲3월 포털의 지역 언론 죽이기 중단하라(한신협) ▲4월 신문협회 주관 지역 언론 토론회 ▲5월 지역 언론 차별 토론회 ▲5월 전국언론노조 및 시민단체 네이버 본사 앞 기자회견 ▲6월 전국시도의회의장협의회 규탄성명 ▲6월 네이버의 지역 언론 차별·배제 규탄 기자회견 ▲7월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지역언론 차별 중단 결의문 채택 ▲9월 포털의 지역 언론 차별 개선 방안 토론회(국회의원 주관) 등 다양한 계층에서 한목소리를 내고 있다.
최근 작은 변화가 생겼다. 지난 9월부터 지역신문 3개사가 네이버 뉴스 모바일에 자사 기사를 보낼 수 있게 된 것이다. 포털 입점과 관련해 심의하는 뉴스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가 PC 콘텐츠 제휴사인 지역신문들이 모바일 콘텐츠에도 제휴 자격이 있다고 인정했기 때문이다. PC 콘텐츠 제휴사인 강원일보, 매일신문, 부산일보가 특별한 이유 없이 모바일에서 제외될 수 없다는 판단이었다. 네이버는 이에 대해 '네이버·카카오 뉴스제휴 및 제재 심사 규정상 콘텐츠 제휴사의 지위를 PC와 모바일로 나누고 있지 않기 때문에 지역신문 3개사는 모바일 콘텐츠 제휴사'라고 인정했다. 이로써 3개사는 2016년 3월 이후 3년 5개월 만에 모바일 뉴스에 입점할 수 있게 됐다.
변화가 시작되었지만 갈 길은 아직 멀다. PC 기반 기준으로 네이버에 콘텐츠 제휴를 맺고 있는 매체는 총 120개 사다. 이중 지역신문은 3개. 모바일에서는 더욱더 큰 불균형을 보이고 있다. 서울에 본사를 둔 44개 매체로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카카오는 PC, 모바일을 다 포함해도 지역 언론 매체는 단 한 곳도 없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제평위에서 지역신문에 대한 가산점을 부여하자는 방안이 흘러나온다. 한국기자협회에서 '한국기자상' 심사 시 지역 매체에 지역의 특수한 환경을 고려해 우대해 심사하는 방안이다. 추가로 제평위에 지역신문 출신 인사를 참여 시켜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현재 30명의 제평위원 중 지역신문의 특수성이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하고 대변해 줄 만한 인사가 없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대해 제평위는 지난 6월 전체회의에서 '지역신문 인사 참여 문제는 운영위원회 소관'이라는 결론을 낸 바 있다. 지역 언론이 해결해 나가기엔 산적한 문제가 너무 많아 보인다.
우창희 기자 jdnews00@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