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에 취한 리더는 자신을 신으로 간주한다. 오만한 통치자는 비판적 사고를 가진 측근을 원하지 않는다. 오직 권력자의 권위에 충성하는 부하만이 생존을 보장받는다.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근대 정치학의 시작이라고 평가받는다. 마키아벨리는 정치는 욕망하는 인간들을 상대하는 학문이자 기술이기 때문에 윤리만 가지고 접근하면 반드시 실패한다고 했다. 이상을 위해 힘쓰느라 현실을 간과하는 사람은 구원이 아니라 파멸을 맞이한다는 것이다. 간담이 서늘해지는 경구다. 현실 정치의 속성을 날카롭게 짚은 마키아벨리는 인간은 사랑보다는 두려움에 복종한다고 했다.
전두환은 여우처럼 영악했다. 공포정치의 대가 박정희의 정치적 기술을 터득한 전두환은 권모술수에 능했다. 목적을 위해서라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자신도 박정희처럼 공포의 대상이기를 바랐다. 힘과 권위를 누리는 냉혹한 통치자를 꿈꿨던 전두환은 지나치게 보스 기질이 강해 한낱 저잣거리의 조폭처럼 보였다. 그는 자신에게 충성하는 측근에겐 확실히 보상했다. 분별력이 결여된 사람들은 이런 그를 통 큰 리더라고 치켜세웠다. 전두환에겐 충견같은 부하가 있었다. '의리의 돌쇠' 장세동. 사냥개는 선혈이 뚝뚝 흐르는 고깃덩이를 던져주는 보스에게 목숨바쳐 충성했다. 장세동도 힘세고 무시무시한 전두환을 닮기를 원했다. 전두환의 아바타 장세동은 5공 시절 대통령 경호실장과 안기부장을 하면서 무서운 사건들을 기획했다. 그의 충성심은 5공 청문회 때 절정에 달했다. 전두환의 얼굴을 '용안'이라고 해서 국민을 경악하게 만들었다. 용안은 임금의 얼굴을 일컫는다. 전두환과 장세동은 마키아벨리의 정치철학에 부합하는 인물인가.
정두언은 MB 정부에서 누구보다 편하고 화려한 길을 걸을 수 있었다. 그러나 대장부이길 바랐던 그는 올바른 소신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마키아벨리는 정치는 사악한 욕망의 세계라고 했다. 셰익스피어의 비극 『맥베스』의 주인공들도 잔인하고 대담하다. 맥베스는 인륜과 도덕을 저버리는 악인인 동시에 악의 유혹에 저항하려는 양심도 있는 유형이다. 갈등에 사로잡힌 그를 악의 지름길로 내몬 사람은 다름아닌 아내다. 레이디 맥베스는 여성의 본성인 모성애를 거부하고 마키아벨리적 남성성을 자처한 책사였다. 양심과 야심, 선과 악. 인간이 선한 천사라면 정치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정치는 적과 동지의 구분이 명백하게 나타날 때 생명력을 갖는다. 정치는 자연의 풍경처럼 아름답지 않다. 중상모략과 권모술수가 판치는 정치의 세계는 윤리적 행동이나 선악의 규칙을 추구하지 않는다. 그래서 어떤 핍박과 고통도 이겨낼 수 있었다고, 오직 국민과 자신의 양심만이 두려울 뿐이라고,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고 했던 정두언은 왜 죽음을 택했을까.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