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9년 11월의 그날이 지금도 생생하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던 날 말이다. 수만명의 동독 주민들이 베를린 장벽으로 몰려와 검문소를 열고 서독으로 넘어왔다. 환호성이 울려퍼지고 동서독 사람들이 얼싸안으며 눈물을 흘렸다. 상기된 얼굴로 해머로 장벽을 부수기도 했다. 분단된 독일이 하나의 국가로 재탄생한 것이다. 사실, 동독 측의 사소한 말 실수로 갑작스레 장벽이 무너졌지만 예견된 일이었다. 동독 주민들의 통일열기가 너무나 강렬했기 때문이다. 우리도 언젠가는 통일을 이루리라!
하지만 독일은 우리와 상황이 많이 달랐다. 동서독은 통일 이전에 정부와 민간 차원에서 접촉이 잦았다. 일반인들도 비교적 자유롭게 양쪽을 오갔다. 동독인들은 서독의 민주주의 체제를 맛보면서 통일의 열망을 키웠다. 하지만 통일 후 30년이 지났지만 하나의 완전한 독일은 완성되지 않았다. 경제적·정서적 이질감 등 많은 문제가 속출했다. 서독 주민들의 동독인에 대한 은근한 멸시와 동독 주민들의 콤플렉스. 동독의 소외된 지역민의 피해의식은 외국인 혐오증으로 나타나 또다른 문젯거리로 불거지는 상황이다. '통일은 대박'이 아닌 모양이다. 한반도가 통일되면 남북한 사회는 어떻게 변할까.
기자 출신 소설가 장강명은 한편의 가상 시나리오 같은 소설을 썼다. 『우리의 소원은 전쟁』. 소설은 '김씨 왕조'가 무너진 뒤 북한이 어떻게 변하는 지를 그렸다. 한마디로 좀비국가, 약육강식의 무정부 사회였다. 아귀와 수라들의 축생도가 따로 없다. 상상만 해도 끔찍하지만 피 한방울 안 흘리고 통일한 독일은 그렇다 치고 지금 예멘은 통일 후 혹독한 대가를 치르고 있다. 우리라고 사정이 나을 리 없다. 한반도의 분단은 우리 의지와 상관없이 강대국의 이해관계에 의해 벌어졌다. 거기다 70년이라는 긴 세월을 이념을 달리하는 적대국으로 상대했다. 그 간극은 지구와 태양의 거리만큼 까마득하다. 지금 북한은 우리에겐 약자다. 강자의 오만함과 약자에 대한 멸시는 남한 사회에서도 징글맞도록 봐오는 터. 조선족·탈북민, 이들은 누구인가. 북한은 우리에게 어떤 존재인가.
6.30 남북미 판문점 정상회담은 트럼프의 깜짝쇼였다. 한반도 상황이 언제 어떻게 또 바뀔지 모른다. 핑크빛이 만발한 평화 무드 속에서 김정은과 트럼프는 계산기를 분주히 두드릴 것이다. 이것이 과연 우리가 원하는 통일로 가는 길인 지 생각해 보자. 통일은 환상이 아니다. 지난해 평창동계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해프닝이 이를 증명했다. 정부의 급조된 일회성 이벤트는 이젠 국민들에게 먹히지 않는다. 특히 젊은 세대는 기성세대만큼 통일이 절박하지 않다. 그들에게 북한은 일본이나 중국처럼 골치아픈 이웃 국가일 따름이다. 통일 후 떠안을 혼란이 부담스러운 세대일 수도 있다. 발그레한 뺨의 순박한 평양 처녀는 어떻게 생각할까. 분명한 건 통일은 로맨스 소설이 아니다. 살벌한 다큐멘터리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