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겨울, 주말 아침 일찍 기차를 타기 위해 대전역에 갔었다. 시간이 남아 대합실에서 어슬렁거리는데 몇 명의 노숙인들이 보였다. 그 중 나이가 꽤 들어보이는 노인이 의자에 쭈그리고 앉아 졸고 있었다. 행색이 말이 아닌 걸로 봐서 노숙 생활을 오래한 듯 했다. 덥수룩한 머리는 떡졌고 양말을 신지 않은 발은 때와 허연 각질로 더께가 졌다. 그뿐만이 아니었다. 그에게서 풍기는 역한 냄새가 주변에 진동했다. 그 꼬리꼬리한 냄새는 노인의 삶을 증명했다. 어느 누구도 섣불리 다가갈 수 없게 하는 냄새. 노인 주위의 의자에는 아무도 앉지 않았다. 노숙인과 깨끗하고 말쑥하게 차려입은 사람들과의 사이엔 선이 분명하게 그어졌다. 밤새 추위와 배고픔에 지쳐 잠에 빠진 노인에게 눈길을 주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영화 '기생충'을 보았다. 봉준호는 자본주의의 허상에 대해 집요하게 파고드는 감독이다. 그는 달달한 사랑놀음이나 디즈니식의 판타지를 허용하지 않는다. 그의 영화는 폭력적이면서 유머러스하다. 신자유주의의 만행을 어찌 진지하게만 다룰 수 있을까. 그 끔찍함을 정면으로 마주할 용기가 봉준호도 없는 모양이다. 차고 넘치는 은유! "내가 원래 선을 넘는 사람을 싫어하는데. 김 기사는 선을 넘을 듯 말 듯 하면서도 절대 선을 안 넘어. 근데 냄새가 선을 넘지… 지하철 타면 나는 냄새 있어. 지하철 타는 놈들의 특유의 냄새." IT 기업의 유능한 CEO 박 사장은 상류층의 조건을 다 갖췄다. '샤넬 넘버 5'가 어울리는 아름다운 아내와 아이들 그리고 언덕위에 우뚝 솟은 웅장한 대저택. 박 사장의 운전사 기택네 가족은 전체가 백수로 반지하방에서 근근이 살아가는 사람들이다.
계급과 불평등은 지금의 한국사회에서 가장 예민한 문제다.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 이 살벌한 사회 시스템 안에서 실존적 개인들은 권력과 부를 놓고 스스로 얼마나 비열하고, 잔인하고, 비굴할 수 있는지를 체득한다. 이것은 비단 우리만의 문제가 아니다. 세계화의 경제체제는 민주주의의 미명 하에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들이 더 부유해지는 모습을 우두커니 지켜보는 상황을 초래했다. 토마 피케티는 이것을 '세습 자본주의'라고 명명했다. 사회학자 지그문트 바우만은 그런데도 왜 불평등에 대한 분노의 목소리는 없고 현실 긍정의 찬가가 유행하는 지 의아해했다. 정말 사회적 불평등의 행진을 막을 방법은 아무것도 없을까.
5월호 '내셔널지오그래픽'에 아이티의 재래식 변소를 청소하는 노동자가 실렸다. 일명 '바야쿠'라고 하는데 이들은 아이티의 불안정한 하수체계에선 없어선 안된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바야쿠를 비난한다. 더럽고 냄새나는 똥을 떡 주무르듯 하기 때문이다. 바야쿠들 스스로도 가족에게조차 직업을 숨긴다. 엑실리엔이라는 바야쿠는 그 일을 자랑스러워하고 존중받기를 원한다며 똥으로 범벅된 자신의 모습을 보여줬다. 치명적인 냄새가 몸에 밴 엑실리엔은 사람들에게 존중받을까. 박 사장도 표 나지 않게 기택을 멸시한다. 숙주가 반드시 필요한 기생충 기택의 운명. 자기모멸을 각인시킨 숙주 박 사장을 죽인 기택의 행로는 쓸쓸하고 슬프도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