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얼마 전 회사를 그만뒀다. 자의 반 타의 반인 셈이다. 전에 하던 업무와 너무 다른 부서에 발령받았기 때문이다. 사측의 속셈을 뻔히 아는지라 새삼스러울 것도 없었다. 경영주에게 밉보이면 그런 식으로 제 발로 나가게끔 야비한 수법을 쓰는 게 어제오늘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노조에 가입했던 친구는 종종 자신도 앞으로 어떻게 될지 장담 못한다고 말했지만 이 정도일 거라고는 생각 못한 모양이었다. 막상 현실이 되자 친구는 적잖이 당황했다. 그래도 잘 버틴다 싶었는데 결국 사표를 냈다. 상사의 모멸감에 참을 수 없어 홧김에 사직서를 던지고 나왔다고 했다. 문제는 징글징글한 회사를 박차고 나왔지만 후회가 되더란다. 친구는 불안감에 어찌할 바를 모르고 허둥거렸다. 난 친구에게 여태까지 일했으니까 이젠 놀아도 된다고 위로했다. 친구는 "내가 뭘 해야 즐거운 지를 모르겠다"며 난감해했다.
직장에 다니면서 퇴사를 생각해 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왜 직장에 다닐까. 자기계발은 허울 좋은 소리고 대개는 돈 때문에 다닌다. 먹고 살아야 하기 때문이다. 천하의 소설가 김훈도 '밥벌이의 지겨움'을 토로했으니 말이다. 한국은 오랫동안 고난의 역사를 살아냈던 터라 먹고 사는 게 중요한 문제였다. 가난으로부터의 탈출이 국가·사회적 당면 목표였다. 기성세대는 배고픔에서 벗어나기 위해 몸이 부서져라 일만 했다. 노동이 미덕인 시대로 야만의 근원이 발현하는 시대이기도 했다. 끊임없이 돌아가는 컨베이어 벨트 앞에서 나사를 조립하는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즈'는 현대인의 노동중독을 예언했다. 과연 '노동이 너희를 자유롭게 하리라'가 됐나.
'나는 자연인이다'라는 TV프로그램이 있다. 누구의 간섭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사는 '자연인'의 삶을 보며 대리만족을 느낀다. 그들이 그렇게 살기까지에는 공통점이 있었다. 마냥 앞만 보며 미친 듯이 일만 하다 어느 순간 브레이크에 걸려 심신이 만신창이가 된 것이다. 그들은 죽기 아니면 살기 살기 식으로 자연의 품에 들어와 새로운 인생을 만났다. 그들의 생활은 노동이 아닌 유희다. 음식재료도 먹을 만큼만 자연에서 얻는다. 욕심을 부리지 않는다. 그들은 한결같이 비로소 진정한 행복을 찾았다고 고백한다.
한달 전쯤 기자협회보에 흥미로운 기사가 있었다. 지금 언론사에 입사하는 90년대생의 가치관에 관한 얘기다. 보수적인 언론사에 발을 디딘 이들은 의사 표현이 확실하고 칼퇴근을 당연하게 여기는 세대다. 내 시간 뺏기면서 번 아웃 상태로 일하기 싫고 회사가 인생의 전부는 아니라고 한다. '칼퇴근 판사에게 재판받기 싫다'는 메이저 언론사의 엘리트 기자가 보면 기가 찰 노릇이다. 『호모 루덴스』의 저자 요한 하위징아는 "문명은 놀이 속에서 발전했다"고 주장했다. 이제 노동숭배에서 그만 벗어나고 놀아보자. 은퇴가 재앙이 되지 않으려면 노는 법을 익혀야 한다. 나는 개미보다 취미를 즐기는 베짱이가 좋다. 당신의 취미는 뭔가.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