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뿐만이 아니었다. 고등학교 2학년 여름에 동네 앞 수로에서 이상한 물고기를 발견했다. 몸통을 띠처럼 두른 털이 난 물고기들이 탁한 물 속에서 유령처럼 흐느적거렸다. 막대기로 건드렸는데 반응도 별로 없었다. 소름이 돋았다. 들판 농작물에 뿌리는 농약으로 인한 기형어라고 짐작했다.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은 환경운동의 기폭제가 된 책이다. 『침묵의 봄』은 살충제의 문제점을 방대하게 다뤘다. 카슨은 극단적 과학주의가 불러온 환경오염의 결과를 낱낱이 폭로했다. DDT 살포로 인해 새들이 죽은 침묵의 봄은 누구의 책임인가. 책은 출간하자마자 큰 반향을 일으켰다. 대중들에게 경각심을 준 반면 화학약품 제조업체의 음해도 끊이지 않았다. 그러나 카슨의 노력은 헛되지 않았다. 결국 미국은 1969년 '국가환경정책법'을 제정했다.
『침묵의 봄』의 교훈은 세상에 강한 인상을 남겼지만 지구는 갈수록 위험해지고 있다. 인류는 여전히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인지하지 못한다. 물질적 세상이 변화하는 속도와 그에 대응하는 인간 사회의 반응 속도가 명백한 대조를 이룬다는 사실 말이다. 악명높은 런던 스모그와 도노라 사건으로 많은 인명피해를 봤지만 여전히 화력발전소에선 연기가 뿜어져 나오고 거리를 가득 메운 자동차는 유해가스를 토해낸다. 로스앤젤레스 스모그는 질소 산화물과 탄화수소의 배출원인 자동차가 원인이었다. 현재 우리가 사는 도심 공기 중에는 일산화탄소, 황산화물, 미세먼지가 둥둥 떠다니는 상황이다. 자동차 배기가스와 공장 매연과 불타 사라지는 열대 우림으로 인해 100년 안에 지구 기온이 3~4도 높아질 거라는 진단은 새삼스럽지 않다. 지금 태어나는 아이들은 훗날 자연의 사계절을 알지 못할 것이다. 당장 겨울의 삼한사미와 여름의 폭염으로 고통받는 한반도를 생각해 보라.
허태정 대전시장은 지난 19일 한국서부발전과 평촌산업단지 내 LNG 발전소 건설 투자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사업비 규모는 1조8천억원에 달한다. 허 시장은 일자리 창출, 세수 증대 등의 이유를 내세우며 청사진을 제시했다. 하지만 발전소 건립에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반대 여론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환경단체, 정치권, 시민들이 대전시의 일방적인 추진에 비판의 날을 세웠다. 학계 전문가도 환경오염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허 시장은 지지율이 50%를 밑도는 상황에서 국면전환용 결과물이 필요했을 것이다. 다분히 정치적인 셈법이 깔린 히든카드였던 셈이다. 21세기의 지구는 '환경'과 '에너지'라는 가장 중요한 문제에 직면했다. 극단적인 예지만 허 시장은 안면도, 부안 방폐장 건설 추진 과정에서 발생한 첨예한 갈등을 기억해야 한다. 시민과의 소통이 중요하단 얘기다. 부디 LNG 발전소가 '청정 발전소'라는 허 시장의 주장이 허언이 아니길 바란다. <미디어부 부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