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훈 을지대병원 의료원장 |
그런데 삼일운동이 한순간에 우연히 이루어진 일은 아닐 것이다. 삼일운동이 일어나기까지 우리 국민은 어떠한 과정을 거쳐서 독립정신, 국민의식 그리고 주권의식을 갖게 되었을까?
필자는 우리나라 근대 모금캠페인의 역사를 조사하던 중에 최초의 근대적 모금운동은 1897년에 시작된 독립문 건립을 위한 것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청나라, 러시아, 일본 등 열강에 의해 우리 국권이 위태로울 때, 서재필 선생은 우리 민족이 자주독립 국가임을 국내외에 천명하는 국가적인 상징물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그래서 청나라 사신을 영접하던 영은문과 모화관 자리에 독립문과 독립관을 세우는 사업을 계획하고, 조선이 자주 독립국임을 국내외에 알리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실행 주체로 1896년 독립협회를 설립하였다. 그런데 독립문 건립은 정부의 재원이 아닌 국민의 참여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 모금 캠페인을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뜻을 독립신문에 밝혔다. '정부 돈만 가지고 하는 것이 마땅치 않은 까닭은 조선이 자주 독립된 것이 정부에만 경사가 아니라 전국 인민의 경사라.' 그리고 이에 동참하여 기부한 사람은 남녀, 노소, 신분의 귀천에 상관없이 그들의 이름을 독립신문에 게재하였다. 독립협회는 독립문 건설을 통해서 조선 사회에 독립정신, 국민의식, 주권의식을 심으려고 하였다.
그 결과 국민 모금이 이어졌는데 7000여 명이 기부하였고, 당시 금액으로 약 6000원이 모였다. 놀라운 것은 기부자의 94%가 일반 국민으로 소액 기부자였고, 1원 미만의 기부자가 80%를 차지하였다는 점이다. 이런 일반 국민의 호응으로 독립협회는 독립문과 독립관을 착공 1년 만에 완공시켰다.
또한 독립협회는 수천 명이 모인 거리의 민중 토론 행사인 만민공동회를 개최해 시민들의 자주독립 정신과 정치 참여를 촉발시킨다. 만민공동회는 헌의 6조를 정부에게 건의하고, 의회 만드는 일을 추진하는 등 활발한 시민운동을 전개하였다. 이에 당혹감을 느낀 정부는 황국협회라는 어용단체와 보부상 그리고 군대를 동원하여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해체시키고 만다.
그러나 이러한 자주독립, 시민 주권의식은 나라가 위태로워지자 국민이 국가를 살리자는 운동으로 되살아났다. 국채보상운동이 전국적인 조직으로 확산되자 일본은 모금의 주도자인 대한매일신보의 베델과 양기탁 선생을 모금 횡령으로 재판에 회부하는 등 방해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금에 참여한 국민의 수는 31만 여명, 총모금액은 27만원에 달했는데 현재 가치로 약 60억에서 100억 원에 달한다고 한다. 역시 그중 대부분인 70%가 1원 이하의 기부를 한 서민들이었다. 그러나 이런 국민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무능한 정부와 매국노들에 의해서 일본에 나라를 빼앗기게 되었다.
그리고 9년 뒤에 전국적으로 일어난 삼일운동은 잃어버린 나라를 되찾고자 하는 우리 국민에 의한 자발적인 시민운동인 것이다. 이러한 3·1운동정신은 독립문 건립 모금, 독립협회, 만민공동회 그리고 국채보상운동의 정신과 맥을 같이 한다. 이 운동들이 자주독립과 국민의식, 주권의식을 조선인들에게 심어주고 참여를 이끌어냈고, 삼일운동 이후에도 민립대학기성회, 조선기근구제회 등의 시민운동의 근간으로 그 정신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