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혜진 책임연구위원 |
처음 이 새로운 도시를 계획할 당시에는 성의 축조가 포함되지 않았을 것이란다. 그러다가 수원이 화성유수부로 승격되고 성을 쌓으려고 보니, 많은 민가가 성 밖으로 밀려나게 되었고, 축성 책임자는 백성들을 내쫓을 걱정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 때 정조는 성을 "세 번 구부렸다 폈다"해서라도 민가를 모두 수용하라는, 즉 설계를 변경해서라도 백성을 모두 품으라는 명을 내렸다며 문화해설사는 찬바람과 감동이 뒤섞인 콧물을 훌쩍였다.
설계 변경은 국고의 손실을 의미했지만, 정조는 그 무엇보다 백성이 원하는 바를 가장 중요하게 여겼고, 공역자들에게 인건비를 지급했으며, 그들의 노고를 생각해 한약을 지어 주는 등 건설단계부터 '백성을 위한 수원화성'이 되도록 최선을 노력을 기울였다는 것이다. 이 대목에선 문화해설사뿐 아니라 모든 관광객이 찬바람과 감동에 눈이 시리지 않을 수 없었다.
지난 가을 대전세종연구원은 세종시로 이주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세종에서의 삶에 대한 설문조사를 했다. 평균 거주 기간 2.49년에 불과한, 2015년에서 작년까지 일명 '세종 러시'기간에 이주한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새 주택을 매입했거나, 직장 이동 때문에 이주해야 했던 사람들이 응답자의 절반이었다. 물가부터 범죄까지 21개 항목에 대해서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또 얼마나 만족하는지 묻고 교차 분석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중요도보다 만족도가 높지 않았다. 이는 여러 정주 여건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만큼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의미다.
주차 편리성, 대중교통 이용이 주민에겐 너무나 중요한 정주 여건인데, 실제 만족도는 낮아서 중요도와 만족도 간 격차가 컸다. 생활물가와 전·월세가도 마찬가지였다. 쾌적한 환경과 안전한 주거환경, 그리고 지역 발전 가능성과 경제적 투자 가치도 커서 신도시다운 매력과 기대감이 큰 것은 사실이었지만, 현재 체감하는 생활여건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들이 많았다.
더 세심하게 살펴야 할 부분은 정주 여건에 대한 성, 세대와 계층에 따른 견해차다. 여성은 생활물가를 남성보다 더 중요하게 여겼고, 대중교통 이용 편리성과 돌봄시설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간 차이도 남성보다 컸다.
세종은 젊은 도시이지만, 20대는 생활물가와 전·월세 가격이 부담스러운 도시라고 응답했다.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하는 20~30대의 특성상 대중교통 이용 편리성은 다른 세대보다 중요도와 만족도 간 큰 격차를 보였다.
50대 이상은 여가와 문화시설에 대한 높은 수요를 드러냈고, 소비생활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내놨다. 특히 50대 이상 장년층은 의료서비스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는데, 이는 원하는 만큼 만족스럽지 않았다.
월평균 가구소득을 기준으로 정주여건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 간 격차를 분석해 본 결과도 세대별 분석 결과와 유사했다. 하지만 생활물가와 전·월세가격 등 경제적 측면에서의 정주 여건들에 대한 평가는 세대별 의견이 달랐다.
이주민 특성에 따른 이와 같은 정주환경에 대한 견해 차이는 새로운 도시 이주민들의 정주 지속을 염려하는 정책기획자들이 성과 세대 그리고 계층에 따른 정확한 '니즈'를 고민해 봐야 할 이유다. 도시를 "세 번 구부렸다 펴는"수고까지는 아니더라도, 새로운 도시에 사는 세종시민들은 원하는 바를 도시정책에 반영할 권리가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