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영화 '말모이' 촬영현장 |
총과 칼로 나라를 지킨 이가 있다면, 누군가는 글과 펜으로 우리의 민족성을 지키려 했다. 방법은 다르나 우리나라를 지키려는 마음은 같았다. 우리말을 지켜 독립에 대한 희망의 불씨를 살리고자 했던 1940년대의 사람들의 말을 향한 애틋함이 영화 '말모이'에 고스란히 녹아들었다.
'말모이'는 우리말 사용이 금지된 1940년대, 까막눈 판수(유해진)가 조선어학회 대표 정환(윤계상)을 만나 사전을 만들기 위해 비밀리에 전국의 우리말과 마음까지 모으는 이야기.
본 작품은 일제시대 우리말을 지키려 했던 이들의 모습을 가감 없이 담아냈다. 암울했던 그 시대, 민족말살통치에 저항했던 조상들의 아픔과 웃음을 그렸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암살', '덕혜옹주', '밀정', '박열' 등 일제강점기시대를 그린 이야기는 당대의 아픔만큼이나 깊고 많이 영화화돼 현시대 관객들에게 진한 울림을 전했다.
이번 '말모이'는 민족말살통치가 행해졌던 1940년대를 정조준했다. 무력통치를 하던 일본이 우리말, 우리문화를 금지시켰다. 민족성을 말살시켜 뼛속까지 일본인으로 만들기 위함이다.
이에 맞서 '말모이'는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던 조선어학회와 이름도 남기지 못하고 사라진 평범한 사람들의 마음을 담았다.
사진=영화 '말모이' 촬영현장 |
조선어학회장 류정환을 연기한 윤계상은 시나리오를 받고 우리말이 어떻게 유지됐는지에 대한 호기심과 함께 그 과정을 시나리오를 통해 알아가며 너무나 가슴 아팠다고 전했다.
극 중 류정환이 지식인을 대표한다면, 일제시대 속 평범한 삶을 살던 판수는 까막눈으로 글도 읽지 못하는 사람이다. 배우지 못해 우리말이 왜 중요하고, 조선어학회가 목숨을 내놓고 사전 만들기에 열중하는지 이해하지 못했던 판수지만 정환과 나머지 동료들과 함께 일하며 소중함을 배우고 정환 못지않은 우리말 사랑을 가슴에 담게 된다.
엄유나 감독은 뚝심 있게 작품을 연출하며 누구나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엄 감독은 일제 강점기, 치욕과 아픔 그리고 비극으로 얼룩져있던 것들에 대해 억지로 눈물을 강요하지 않는다. 이전에 썼던 '택시 운전사'만큼이나 관객이 스스로 생각하고 작품에 빠질 수 있게 만들었다.
엄유나 감독이 처음으로 메가폰을 잡았고 충무로 대표배우 유해진과 윤계상이 ‘소수의견’이후 다시 한 번 손을 잡았다. 영화 '말모이'다. 오는 1월 9일 개봉한다.
온라인 이슈팀 ent88@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