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익 학장 |
부모의 기대대로 학원은 아이가 잘하게끔 채근한다. 빨리 선을 바로 긋게 하려 두꺼운 연습장을 채우게 하고, 체르니 단계로 빨리 들어가게 피아노를 실수 없이 치는 숙제를 낸다. 그러나 연습 과정은 지루하고 피곤하며, 아이는 잘 견뎌낼 수 없다. 어느 날 아이는 학원에 있을 시간에 놀이터에서 발견된다. 예술이라면 넌더리가 난 채로 말이다.
예술은 본디 즐기는 것이다. 즐김이란 좋아함을 기반으로 한다. 그래서 예술 교육에서 남들보다 잘하는 것은 비본질적인 문제가 된다. 오히려 좋아할 때 힘든 것도 참을 수 있고 더 잘하기 위해 애를 쓸 수 있다.
이는 예술에 대한 공식 교육에서도 마찬가지지만, 하나 먼저 전제할 것은 그것이 모든 이를 예술가로 만드는 교육은 아니라는 것이다. 오히려 공식 교육에서는 아이가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바탕을 주는 것이 목표가 된다. 그렇다면 예술은 인간다운 삶의 바탕을 어떻게 줄 수 있을까. 그 답은 예술이 아이들에게 자기실현의 경험을 준다는 데 있다.
자기실현은 인간이 자신의 존재 의의를 스스로 확인하는 계기가 된다. 어설프더라도 애써 만든 그림이나 시를 볼 때의 뿌듯한 성취감은 자기실현의 본보기이다. 남들의 평가와 관계없이 스스로 무언가 만드는 힘을 발견한 것인데, 이 힘을 키워가는 경험을 주는 것이 예술 교육인 것이다.
아이가 어른이 되었을 때를 생각해 보자. 바쁘고 각박한 삶에서 우리는 자신의 존재 의의를 잘 발견하지 못한다. 기껏해야 남들보다 잘산다는 것이나 남들보다 높은 자리에 있는 것으로 존재 의의를 발견할 뿐이다. 그러나 이처럼 타인과의 비교를 통한 존재 의의의 발견은 덧없는 것이다. 더군다나 현대처럼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경쟁에서 처진 다수에게 타인과의 비교는 존재 의의의 발견은커녕 자괴감만 낳기 일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예술은 자기실현을 경험하는 좋은 통로가 된다. 창작이든 감상이든 예술은 스스로 자신의 삶과 생각을 표현하는 방법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돈도 권력도 안 되는 예술이 필요한 이유이다.
그런 점에서 우리나라 교육의 숱한 문제점 가운데 중요도에도 불구하고 별 주목을 받지 못하는 것이 예술교육의 문제이다. 교육의 모든 체제가 타인과의 비교에 근거를 둔 서열화를 지향하다 보니 정작 인간다운 삶의 바탕을 주는 예술교육은 주변적인 것이 되고 말았다. 상급 학년에서는 아예 안 가르치는 과목이 예술 과목인 것이 그 단적인 예이다.
최근 교육부에서 입시제도를 비롯한 개혁 방안이 논의되었지만 인간다운 삶은 논외인 채 공정 경쟁만 화두가 되었고, 결국 예술교육은 제대로 논해지지 못했다. 그러나 교육이란 잘하게 하는 것만 아니라 좋아하는 것을 하게 하는 것도 포함된다는 것을 모두가 염두에 두어야 한다. 그러니 이제부터는 바꾸어 묻기로 하자. "우리 애, 좋아해요?"라고 말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