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다 조금 더 뜨겁게 느껴졌던 베트남에서의 첫날, 호텔 숙소에 체크인하고 화장실에서 샤워를 하려는데 조금 이상한 점을 발견했다. 분명 샤워실은 따로 있었는데 벽에 붙어있는 샤워기에서 물줄기가 나오는 구조였고, 손잡이를 사용해 틀어보니 물은 이상 없이 잘 나왔으나 기자의 기준에선 영 만족스럽지 않은 세기였다. 다른 방법이 없을까 주위를 둘러보던 찰나 변기 옆에서 호스를 발견했다. 마음속으로 '유레카'를 외치며 버튼 같이 생긴 것을 꾹 놀러보았다. 과하다 싶을 정도로 물줄기가 매우 강했다. 그것뿐만이 아니라 욕조에 들어가서도 간신히 씻을 수 있을 정도로 호스의 길이는 짧았으며, 기자처럼 키가 큰 사람이 쓰기에도 적절치 않아보였다. 더군다나 버튼을 세게 힘주고 유지해야 물줄기가 나와 조금 불편하다고 느끼며 샤워를 마쳤다. 물론, 과한 물줄기와 조절하기 힘든 버튼 덕에 화장실이 물바다가 되어 정리를 했어야 했다. 그 호텔에서 이틀을 묵었기에 그 다음날 오전에도 힘겹게 샤워를 마쳤으며, 왜 샤워가 불편했는지는 셋째 날 점심시간에 밝혀지게 되었다. 선·후배들과 다양한 대화를 나누며 식사를 하는 도중 어느새 주제는 화장실로 옮겨졌다. 그러다 같은 방을 썼던 선배가 "○○이만 들어갔다 나오면 화장실이 물바다가 돼있다"고 말하며 샤워 방법에 대해 의문을 던졌다. 기자는 본의 아니게 물바다를 만들게 된 사정을 간략하게 설명했으나 선배는 황당한 표정을 지으며 그 호스가 샤워기가 아니라 비데용(!)이라는 청천벽력 같은 소식을 전했다. '아… 그래서 그랬던 거구나' 소리 없는 침음을 삼키며 왜 샤워기 같이 생긴 호스가 그렇게 불편할 수밖에 없었는지 확실히 알 수 있었다.
문화는 개인이나 인간 집단이 자연을 변화시켜온 물질적·정신적 과정의 산물이다. 여기에는 정치나 경제, 법과 제도, 문학과 예술 등 인간의 모든 산물이 포함되며 이는 인간이 속한 집단에 의해 공유되기도 한다. 인류는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민족과 국가라는 경계를 만들었다. 각 나라에서 독자적인 문화가 싹 트기 시작하면서 경계선을 넘는 것이 어려워졌고, 어느 순간부터 경계를 넘어가는 것은 국가의 철저한 관리의 대상이 되었다. 세계화 시대 속 한 지역에 없었던 문화에 새로운 문화가 만나서 또 다른 모습을 만들어내기는 하지만 그 나라의 고유한 문화는 결코 쉽게 없어지지 않는다. 기자가 베트남 화장실에서 아무 생각 없이 변기 옆 호스를 샤워기로 사용한 것은 한국에서 으레 보이던 샤워기랑 비슷하게 생긴 것 같다고 단정 지었기 때문이다. '로마에 가면 로마법을 따르라'는 말이 있다. 해외에서 민망한 상황을 맞닥뜨리지 않으려면 그 나라의 문화를 익혀가자. 넓어진 시야로 더 값진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