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적시하자면, 국보 306호인 삼국유사 목판본에 인쇄된 이 노래는 성적으로 문란하지 않다. '구워서 먹으리(燔灼而喫也·번작이끽야)'가 여성기의 은유라는 이설까지 나왔으면 정말 큰일 치를 뻔했다. '거북'이 뭔지는 수로왕, 신(神), 성적 욕망, 남성의 그것, 김해 구지봉, 주문(呪文) 등으로 견해가 구구하다. 이런 부분을 기본적으로 짚지 않는다면 반쪽짜리 엉터리 수업이다. 국가인권위원회나 인천시교육청 등에서 특히 눈여겨볼 점이다. 기말고사나 수능시험에 출제될 수준인가는 중요하지 않다.
이보다 훨씬 야한 고려가요 '만전춘'에서 '위위'가 흥분 상태를 나타내는 신음이라는 학설을 (여자) 선생님을 통해 거부감 없이 배운 기억에 견줘보면 이건 무슨 에로스 축에도 못 낀다. 우스갯소리로, 예쁘다고 하면 성희롱, 기분 나빠도 성추행, 쳐다보면 시선 강간이라더니, 너무 나갔다. 말로 오해가 빚어지면 "내 언어의 한계가 곧 내 세계의 한계다"라고 비트겐슈타인을 빙의하는 습관이 나를 편하게 한다. 그래도 남는 불편이 있다면 이 또한 한계일 것이다.
전체 맥락이 그래서 더 중요하다. 구약성경에도 남녀상열지사가 나오고 유가 경전인 시경(詩經)은 과거의 청소년 연애 교과서였다. 이걸 맥락 쏙 빼고 음담이라고 하면 천만부당하다. 죄의식 없이 소비되는 성희롱의 성립 요건인지를 떠나, 거북 머리에 관한 학문적 소개가 성희롱이면 교과서는 성희롱 교재, 삼국유사는 성희롱 원본이 된다. 도식적인 성희롱 낙인은 교권 침해이기 전에 인권 침해다. 수업 배제 조치를 할 만큼 불온한 작품이면 차라리 교과서에서 들어내는 편이 온당할 일 아닌가. 학교나 학원에서 이 내용을 가르치지 않았다면 제대로 못 가르친 것이다.
안 그래도 성체(聖體) 훼손, 태아 훼손 등 반인류와 비문명의 극혐, 여혐, 남혐이 펄펄 끓는 폭염보다 사람들을 피폐하게 만들고 있다.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유발한 언동 등 특별한 사실관계가 있지 않았으면 학문의 범주, 수업의 영역으로 봐야 몇 번이고 옳다. 어부사시사에 '무심한 갈매기는 내 좇는가 네 좇는가'라고 풀이되는 구절이 나온다. 나의 옛 스승은 고어 기본형 '좃다'가 '그것·다'라는 식의 독특한 교수학습법으로 가르쳤다. 그분 덕에 고전의 바다에서 마음껏 유영할 수 있었다.
'성희롱' 단어조차 부재하던 그 시절, 19금·28금·33금이 섞인 판타지의 바다를 건너며 한 번도 성적 굴욕감, 혐오감은 겪지 않았다. 고대가요로 성희롱 혐의를 받는다면 현대가요의 '고래사냥'에서 고래가 권력자 상징이라거나 '미인' 중 '한 번 보고 두 번 보고'가 성적 상상력을 유발해 금지곡에 올랐다는 전설과 크게 차이가 없다. 해석이 성적(性的)이라고 성희롱이 아니다. 아마도 서기 2세기쯤의 당대 방탄소년단(BTS)이 불렀을지 모를 '구지가'를 이제 온전히 해금시켜줄 차례다. 쾌감과 호감이 아니라도, 최소한의 열린 자세가 아쉽다.
※ <구지가(龜旨歌)> 가사
龜何龜何
首其現也
若不現也
燔灼而喫也
(거북아 거북아
머리를 내놓아라
만일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리)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