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이나 영화 등 영상매체를 통해 견고하게 형성된 무지, 편견과 전혀 다른 모습이었기 때문이다. 서방에서 악의 축으로 불리는 IS(이슬람국가)의 잔혹한 파괴나 살인행위와 일상화된 것처럼 보도되는 자살폭탄 테러와 전염병 메르스라는 부정적인 인식은 철저히 무너졌다.
개인의 선입견과 편견에 의해 올바른 판단을 못한다는 베이컨의 우상론이 뇌리에 떠올랐다. 학창시절 열심히 암기했지만 가물가물한 기억으로는 우물안 개구리로 대변되는 동굴의 우상(?)에 사로잡혀 있었다는 자괴감이 들었다.
우훅죽순 들어서 있는 마천루 등은 사막의 신기루라는 세간의 평가에 한점도 부족함이 없었다. 특히 거의 동일한 모습을 찾아 볼수 없었던 개성있는 디자인의 건물들은 성냥갑처럼 획일적으로 들어선 아파트 단지로 이뤄진 우리나라의 도시 정경과는 비교불가의 매력을 풍겼다. 세상에서 가장 높다는 부르즈 칼리파와 꽈배기 빌딩(정확한 명칭을 모르겠다), 해변에 위치한 7성급 버즈알아랍 호텔, 축구장의 50배 규모로 점포가 3000개 입점해 있다는 전세계 최대쇼핑몰 두바이몰 등이 볼만한 스카이라인을 이룬다. 차를 타고 스쳐 지나가면 그 멋대로, 직접 방문해 구경하는 것은 그나름대로 맛이 있다.
가이드에 의하면 거주인구는 대략 150만명이라고 한다. 대전과 비슷하다. 이중 원주민은 60만명에 불과하고 대다수가 인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에서 온 외국인 근로자라고 한다. 여행중 대면하거나 볼 수있는 공사현장 근로자, 쇼핑센터나 음식점의 직원 등은 대부분 이들이라고 한다. 심지어 비록 하위직이지만 경찰이나 공무원중에도 많은 비율을 차지한다니 그 개방성이 놀랍다.
두바이 도심 중심부를 신호등이 하나도 없어 20여분간 끊김없이 주행한 것도 인상적이었다. 신호등 대신 고가도로를 무수히 건설해 비용과 기간이 곱절로 투입됐지만 미래 도시개발 청사진에 따라 뚝심있게 추진했다고 한다. 원동력이 왕정국가라라는 점에 기인하지만 그 추진력에 경이롭다. 지지부진 말뿐인 한국의 도심지 재개발 정책과 오버랩된다.
두바이는 황량한 모래벌판에 지어진 도시다. 40~50도를 넘나드는 기온과 비 구경하기 어렵다는 연간 강수량 등 극한의 환경은 초목이 생장을 거부한다. 하지만 두바이 시내 곳곳에는 나무를 심심찮게 볼 수 있고 일부지역에는 녹색이 우거진 대규모 수림을 볼수도 있다. 도로변에 조성된 화단, 가정주택의 정원에 심어져 있는 한그루 등 이런 모든 나무는 인공적으로 식재되고 관리된다. 여행 가이드는 인력을 동원하거나 관계시설을 설치해 하루에 두번씩 급수를 한다고 밝혔다. 따라서 나무를 키운다는 것은 적지않은 비용이 소용된다. 이런 이유로 두바이에서는 나무의 소유 정도가 부의 척도를 나타내기도 한다.
4박6일의 일정의 관통하는 느낌은 마치 봉이 김선달 같다는 것이다. 허허벌판 사막에 야자나무 잎사귀를 닮은 인공섬과 최고급 호텔과 금 시장 등을 조성, 세계에서 관광객을 끌어모으는 점이 그렇다.
마지막으로 수박 겉핱기로 습득한 지식과 경험을 근거로 쓴 글이라 혹시 또 다른 우상의 오류를 범하지 않았기를 소망한다.
편집부 차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