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우난순 기자 |
무리가 있으면 우두머리가 있는 법. 아프리카 사바나의 사자들과 시베리아 대 평원을 어슬렁거리는 늑대들의 세계를 보라. 늠름한 수컷이 대장이 되어 무리를 이끈다. 대장이 쇠약해지거나 능력이 없으면 2인자는 우두머리의 자리를 호시탐탐 노린다. 결국 2인자가 대장을 몰아내고 왕좌에 앉는다. 공통점은 동물이건 인간이건 대개 수컷이 대장이라는 사실이다. 인간 사회에 옛날 옛적 모계사회가 존재했다고는 하나 아주 미미한 역사의 한 부문이다. 진화생물학자들은 그래서 수컷의 권력을 자연스런 현상이라고 본다. 수컷이 암컷에게 일삼는 성적 치근거림은 당연하다는 이치다. 동물의 본능 차원에서 보면 일리가 있다. 인간도 동물의 범주에 속하니까 말이다.
동물과 인간의 다른 점도 있다. 동물의 성 행위는 단지 종족 보존을 위한 것이라는 데 있다. 인간은 거기에 하나 더 추가한다. 쾌락이다. 동물은 발정기 때만 섹스를 하지만 인간은 아무때나 섹스를 즐길 수 있다. 거기엔 남녀가 따로 없다.
헌데 지금 우리 사회에 부는 '#미투' 운동은 무엇을 말하는가. 일일이 열거하기 벅찰 정도로 '나도 당했다'는 여자들의 고발이 봇물 터지듯 쏟아져 나오고 있다. 그야말로 굴비 엮이듯 유명 정치인, 예술가 할 것 없이 남자들의 성폭력이 까발려지고 있다. 그 중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수행비서 성폭행과 추가 성폭행 논란은 한국 사회를 발칵 뒤집어 놓았다. 차기 대권주자로 주목받던 안희정 전 지사는 정의롭고 반듯한 이미지로 연예인 못지않은 많은 팬을 거느린 정치가였다. 인권과 여성문제에 많은 관심을 보이기도 했다. 그런 차밍한 정치인이 저항할 수 없는 낮은 위치에 있는 비서를 자신의 우월한 지위를 이용해 성적 착취를 일삼은 것이다. 왜 여자는 늘 남자와의 관계에서 열등한 위치에 서 있을까.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자본주의의 특징을 계급으로 논했다. 당연히 남성들의 성폭력도 계급과 관련 있다고 보았다. 여성이 겪는 성폭력은 결코 인간사회의 보편적 특징이 아니라는 것이다. 따라서 단순히 남성의 생물학적 특징에서 비롯된 결과도 아니라고 주장했다. 진화생물학과는 배치되는 견해다. 다시 말하면 계급의 불평등은 남녀의 불평등을 초래해 권력에서 배제된 남자들이 더 낮은 여성에게 폭력을 행사한다는 얘기다. 맞는 말이지만 힘 있는 위치에 있는 남자들의 폭력은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지금으로선 "사또가 되면 되도록이면 많은 여자와 자는 게 목표"라는 변학도(영화 '방자전'에서)의 소망이 남자들의 욕망을 대변하는 것처럼 보인다.
사실, 인류사에서 여성은 피해자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남성은 강자였고 여성은 약자의 위치에서 벗어난 적이 없었다. 서양 중세의 '초야권'이나 중동지역의 '명예살인'은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인격체가 아니었음을 보여준다. 더욱 기가 막힌 것은 명예살인이 지금도 자행된다는 사실이다. 남성에게 성폭행 당한 딸이나 누이가 집안의 수치여서 죽여 마땅하다는 논리다.
문명의 발달은 인간의 의식을 고양시켰다. 하지만 남성들은 성적인 문제는 이 부문과 별개의 문제로 간주한다. 남성들의 강간과 성추행은 도처에서 벌어진다. 정치권, 문화?예술계, 직장, 학교, 종교단체, 군대 가릴 것 없이 성폭력은 끊임없이 일어난다. 그리곤 무조건 여성들에게 책임을 지운다. 짧은 치마를 입어서, 화장이 진해서, 술을 먹어서…. 피해자가 가해자로 둔갑하는 상황이다. 그들은 여성을 잠재적 꽃뱀이라고 규정한다.
이제 여성들은 더 이상 참지 못한다고 선언했다.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높아졌고 경제력도 갖췄다. 독립성도 커졌다. 그래서 여성들은 존중받고 싶어 하는데 남성들은 자신들의 밥그릇을 내 줄 생각이 눈곱만큼도 없다. 헤게모니 싸움이 시작됐다는 의미다. 지난해 메갈리아 논쟁도 이를 증명한다. 그렇다고 권력이 여성들에게 쉽사리 넘어올 지는 의문이다.
1980년대 초 코미디 프로그램 '유머 1번지'에 나온 콩트가 잊혀지지 않는다. 터프한 여자 몇 명이 남자 한명을 밤새도록 술 먹이고 노래시키고 희롱해서 경찰에 입건됐다. 남자는 자기가 당한 수모를 엉엉 울며 경찰관에 진술하고 여자들은 툴툴대는 장면이었다. 그걸 보며 '저럴 수도 있나?' 생각하며 짜릿한 쾌감을 느꼈다. 여태까지 봐 왔던 모습이 아니기 때문이다. 여자들이 남자들의 성폭력에 치를 떨고 있지만 여자들이 남자보다 우위에 있으면 역전될 수 있을까. 모든 현상은 권력의 문제다. "남자들아, 고마 해라. 마이 해 묵었다 아이가."
우난순 기자 rain4181@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