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는 대전시의 아시안게임 유치에 적극 협력하고, 종합운동장 등 스포츠시설 기반을 조속히 구축하도록 노력해 2030년 아시안게임 공동개최에 적극 참여한다는 의지를 밝혔다.
2030년은 세종시에 행정도시 건설이 완료되는 해이기도 하다.
시는 국내에서 열린 아시안게임을 볼 때 12~16년 주기로 대회가 열려 2030년 대전 개최가 시기에 적합하고, 유치 지역도 그 동안 수도권(서울, 인천)과 남부권(부산)에 국한돼 중부권 유치라는 상징적 의미도 있다는 점을 ‘2030 아시안게임’ 유치의 필요성으로 꼽았다.
현재 IOC(올림픽위원회)와 OCA(아시아올림픽평의회)는 개최지 재정 부담 최소화를 위해 공동 개최를 권장하고 있고, 실제로 2018년에 공동개최를 추진하는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와 팔렘방은 지역도 다르고, 직선거리로 400km 이상 떨어져(속초-목포 거리) 있다. 충청지역은 매우 가까운 편에 속한다.
시는 2022년 중국 항저우, 2026년 일본 나고야가 아시안게임 개최지로 확정된 상태에서 보통 7~10년 전 OCA 총회에서 차기 개최지가 결정되는 것을 감안하면 2020~2023년 개최지가 확정될 것으로 판단해 선점 차원에서 제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가만히 보면, 권선택 시장의 아시안게임 공동개최 발표는 묘수에 가깝다.
1986년부터 2026년까지의 대회를 보면 한,중,일 3국이 8개 대회 중 6개 대회를 독점하고 있고, 2022년 중국 항저우(19회), 2026년 일본 아이치·나고야(20회)의 개최가 확정돼 있어 한국의 차례가 됐다.
베트남의 2018 아시안게임 반납과 인도 뉴델리, 대만 가오슝,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등이 국내 사정으로 대회 유치를 포기하는 상황이 절묘하게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2018년 아시안게임도 인도네시아만 단독 신청했었다.
지난 19일 대전·충남·충북 체육포럼과 충남대학교스포츠융복합산업연구소는 아시안게임 공동개최를 위한 체육시설 현황과 유치 가능성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필자는 대전의 대규모 체육시설이 전국체전, 월드컵과 같은 전문체육 육성을 통해 건립돼 왔으며, 50여년간 이 시설을 통해 생활체육 인구 확대와 야구, 축구, 배구 등의 프로스포츠 단을 유치할 수 있었음을 강조했다.
대전월드컵경기장은 15년 전인 2002년 월드컵 유치로 건립됐고, 이를 통해 U-20 월드컵경기대회를 치르고 있다. 53년 전인 64년 1월에 개장한 한밭종합운동장은 대전 시티즌과 스포츠토토 여자 축구단, 한국수력원자력 축구단, 코레일 축구단이 연고지로 사용했었고, 대전코레일이 2014년부터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64년도에 완공된 한밭야구장은 1986년부터 근 30년간 한화이글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도 있으며, 71년에 개장된 충무체육관은 1997년 현대 다이냇 농구단의 홈구장이었고, 2005년부터 삼성화재 블루팡스와 KGC인삼공사 프로배구팀의 홈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2016년 대전시의 프로스포츠 누적 관중 수는 연간 80만 명으로 2,200억원의 경제유발효과를 일으켰고, 52만여명의 생활체육 동호인은 연간 5000억 원 이상의 경제유발효과를 일으키고 있다.
대전시를 걱정해 인천과 같은 큰 적자를 우려하는 목소리는 충분히 타당하다.
그러나 대전, 충남, 충북, 세종의 체육시설을 활용한다면 서남부권에 지을 주경기장 이외에의 신축은 거의 필요가 없다.
멀쩡한 문학경기장을 놔두고 5000억 원을 들여 주경기장과 16개의 경기장을 신축하며 1조원의 적자를 기록한 최악의 인천 아시안게임과는 분명히 다르다.
국제적, 국내적, 대전시의 상황이 모두 한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53년 전, 대전의 미래를 보고 한밭종합운동장·야구장을 건축했듯이, 이제 앞으로 50년 후를 대비해야 된다.
정문현 충남대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