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생에 한 번뿐인 결혼을 많은 이들에게 축하받고 싶은 마음은 당연하다. 새 시작을 사람들 앞에서 선포하고 정식으로 부부의 삶을 시작하는 자리다. 최근엔 작은 결혼식도 열리지만 아직까지 한국의 결혼식 풍경은 많은 이들 앞에서 행진하고 부부의 가약을 맺는 게 일반적이다.
이러한 축하 풍경을 모두가 가질 수는 없는 모양이다. 오랜 시간 정성과 사랑으로 키운 자식의 결혼을 많은 사람 앞에서 축하받는 대신 최소한의 사람들과 조용히(거의 비밀에 가깝게) 치른 한 결혼식이 떠오른다. 보물과도 같은 자식을 보내며 권선택 대전시장은 오히려 이 사실을 주변에 숨겼다고 한다. 공직에 몸담고 있는 게 이유였을까. 큰 아들에 이어 작은 아들의 결혼도 가족사라며 꽁꽁 숨긴 까닭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게 된다.
한국의 결혼식은 대부분 닮았다. 내 결혼식에 온 하객이 결혼을 하면 나도 가서 축하해준다. 앞서 말했듯 축하의 마음을 액수로 정할 수는 없지만 축의금은 매번 거의 같다. 예식장에 다니며 ‘뿌렸던’ 돈을 다시 ‘거두는’ 일종의 품앗이다. 그래서 결혼식을 작게 치르기로 결정하는 게 어렵고 축의금을 받지 않기로 한 게 더 어려운 이유일 거다.
지역 한 인사가 아들의 결혼을 앞두고 수백여 개의 통(統) 통장에게까지 청접장을 보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많은 이들에게 축하받고 싶었던 거라 생각한다. 손가락질 받을 이유는 없지만 권 시장과는 확연 다른 모습임에는 틀림없다.
공직자로서의 삶은 때때로 무언가를 포기하는 순간을 마주해야 하는지도 모르겠다. 책임이 많은 그가 누군가에게 어떠한 부담을 주고 싶지 않았을 법하다. 선택을 존중하고 결정에 고개를 끄덕인다.
늦었지만 이 커플의 결혼에도 축하를 전하고 싶다.
임효인 사회부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