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재연(천안) |
투자대비 사업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판단과 특혜성 논란이 일기 때문이다.
뜨거운 감자로 남은 천안 야구장사업은 전임시장의 특혜의혹에 이어 20대 총선에선 후보자 들간 책임소재를 놓고 공방을 넘어 형사고발까지 이어졌다.
지금까지 투입된 야구장예산580여 억원 가운데 무려 540여 억원이 토지보상비고 실제 공사비는 40억원도 되지 않는 앞뒤가 뒤바뀐 사업이다.
앞으로 30여 억원을 더 투자해 마무리한다하지만 졸속사업이라는 오명은 두고두고 남을 것이다.
올 연말 준공예정인 도솔광장조성사업도 야구장과 닮은 꼴이다. 천안시관문인 신부동 경부고속도로 IC입구 6만1507㎡에 조성되는 도솔광장은 총사업비 603억6000㎡가운데 70%에 달하는 예산이 토지보상비다. 이 역시 토지보상비가 사업비에 비해 월등히 높게 책정됐다.
2014년 구본영 시장 출범과 함께 예산낭비라는 지적에 따라 일부 공사를 제외해 60억여원의 예산을 삭감했지만 졸속사업이라는 지적에 자유롭지 못하다.
업성저수지 일원에 추진하다가 무산된 국제비지니스파크조성사업도 특수법인을 설립하는등 수년간의 조직운영에 따른 수십억원의 예산만 낭비하고 말았다. 이 역시 구 시장 출범과 함께 호수공원조성 등 대안을 마련하려했지만 막대한 예산투입에 무리가 있다고 판단, 사업을 포기하고 다른 대책을 마련 중이다.
이처럼 전임시장이 추진하던 대단위 사업들이 곳곳에서 문제점으로 돌출되면서 천안시정에 장벽이 되고 있다.
사업을 중단하자니 기 투자된 예산과 전임시장 치적지우기라는 비난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고 그대로 진행하자니 효율성에 부담을 안게 되기 때문이다.
공사비보다 토지보상비가 과다한 이른바 밥보다 고추장이 많은 사업을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천안시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