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CT융합 등 신사업 추진으로 위기대응
수출을 이끌어온 주요 제조업체들이 성장둔화와 쇠퇴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들은 위기대응방안으로 신사업 추진을 모색하고 있지만 불투명한 수익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대한상공회의소가 내놓은 ‘우리 기업의 신사업 추진실태와 시사점’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13대 주력제조업체 300개사 가운데 66.3%는 자사 주력제품이 성숙기에 도달했다고 답했다.
성숙기는 4단계 제품수명주기(Product Life Cycle)상 제품 판매량이 줄고 성장률이 둔화하는 시기로 도입기를 지나 제품이 많은 소비자들에게 수용되고 매출이 급성장하는 성장기를 넘은 단계다.
업종별로는 컴퓨터(80%), 섬유(75%), 평판디스플레이(72.2%), 무선통신기기(71.4%), 자동차(50%), 반도체(41.7%) 순이다.
매출과 이익 감소가 동시에 찾아오는 쇠퇴기로 들어섰다는 기업도 12.2%에 달했다. 선박(26.1%), 섬유(25%), 평판디스플레이(22.2%), 석유제품(17.6%)이 대표적인 쇠퇴 업종으로 꼽힌다.
반면 성장기에 있다고 답한 기업은 21.5%에 그쳤다. 자동차와 반도체, 석유화학, 일반기계, 자동차부품 등이 그나마 선전하고 있다.
이마저도 후발국의 추격과 시장변화가 빠르게 이어지고 있어 낙관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위기에 직면한 기업들은 대부분 새로운 사업 추진 의사를 밝혔다. 조사대상 기업 86.6%는 신사업 계획이 있다고 했고 나머지 13.4%는 별다른 대책이 없는 것으로 집계됐다.
신사업 추진분야는 정보통신기술(ICT)융합이 47.9%로 가장 많았고 신소재·나노(28.6%), 에너지신산업(26.1%), 서비스산업 결합(9.7%), 바이오헬스(5.9%), 고급소비재(3.4%) 등이 뒤따랐다.
ICT융합 대상에는 사물인터넷·스마트홈(43.9%), 드론·무인기기(30%), 3D프린팅(12.3%), 인공지능·로봇(11.5%), 가상·증강현실시스템(4.3%) 등이 꼽혔다.
하지만 신사업 추진 기업의 절반이 넘는 56.6%가 현재 가능성 검토단계라고 했고 23.2%는 기술력 확보 등 착수단계, 9.3%는 구상단계라고 했다.
제품출시단계는 10.5%, 마무리단계는 0.4%에 불과했다.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의 기업들이 스마트 로봇이나 무인차 등 혁신적 제품의 상용화를 시도 중이고 중국도 미래성장동력 창출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는 것과 대비된다.
국내 제조기업들이 기술 개발과 시제품 제작 등을 거쳐 신제품을 출시하는 데 평균 32.5개월(2년8개월)이 걸린다는 점에 비춰 시장선점이 성패를 가르는 신산업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의문이란 분석도 나온다.
또 신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업들은 불투명한 수익성(49.5%), 관련 기술과 노하우 부족(21.8%), 장기전략 부재(15.8%), 미래정보 부족(11.9%) 등의 애로가 있다고 응답했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KDI) 수석이코노미스트(대한상의 자문위원)는 “최근 산업트렌드는 혁신적 아이디어에 기반한 첨단기술 경쟁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다”며 “산업 간 경계를 뛰어넘어 기업들이 고부가가치 융합분야에 적극적이고 속도감있게 대응하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승현 기자 heyyun@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