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태웅 과장(유성선병원 뇌졸중센터 ) |
심방세동이 생기면 심방이 약하게 떨리므로 심방 내의 혈액 흐름이 느려지며, 경우에 따라 혈액이 응고되어 그 덩어리가 심방 벽에 붙는 혈전이 생길 위험이 높다. 이 혈전이 안정화되기 전에 심방 벽에서 떨어져 나가면 온몸에 있는 동맥 혈관 가지 중 하나를 막아 색전증을 일으킨다. 이때 머리로 떠내려갈 경우 뇌혈관을 막게 되고, 그로 인해 뇌졸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뇌졸중과 심방세동이 문제가 되는 것은 고령화 때문이다. '고령'이 심방세동의 중요한 위험인자이기 때문이다. 또한 전체 인구의 심방세봉 유병률은 1% 미만이지만, 뇌졸중의 20% 가량이 심방세동에 의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어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허혈성 뇌졸중의 증상으로는 갑작스러운 마비, 감각 이상, 기억력 저하, 어눌한 말투, 시야장애, 보행장애 등이 있다. 이러한 증상이 발생한지 3시간 이내에 병원을 찾은 환자의 경우, 혈전용해술로 막힌 혈관을 뚫어주는 응급치료를 받게 된다.
입원 후에는 심초음파 및 심전도 검사를 통해 심장질환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인지를 확인한다. 만약 심방세동 등 심장질환에 의한 허혈성 뇌졸중이라고 판단될 경우, 환자는 혈액 속 응고 성분을 조절해 혈전이 생기지 않도록 피를 묽게 하는 항응고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와파린을 비롯한 비타민 K 길항제는 1950년부터 사용된 대표적인 항응고제로, 최근까지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비타민 K 길항제는 약물 작용을 방해하거나 출혈 위험성을 증가 시키는 녹색 채소, 인삼, 녹차, 마늘, 생강 등의 음식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다른 약물이나 흡연, 음주로 인한 상호작용도 빈번하게 발생해 복용 및 관리가 매우 까다롭다. 특히 와파린요법은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이 발생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지속적인 혈액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최근 와파린 이후 60여 년 만에 등장한 경구용 항응고제 신약들은 와파린과 같은 비타민 K 길항제가 가진 단점들을 보완했다. 이들은 피를 뽑아 검사하는 일상적인 모니터링이 필요 없고 각종 음식이 약효에 영향을 받지 않아 편하게 복용할 수 있다. 또 출혈 위험성이 적으며 약물 간의 상호작용 가능성도 낮아 와파린 복용상의 제약을 현격하게 줄였다. 반면 신약들은 출혈 부작용이 적지만 와파린처럼 출혈이 있다면 막을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콩팥기능이 떨어진 환자의 경우 사용하기 어려울 수도 있기 때문에 투약여부에 대한 결정은 신중을 기해야 한다.
뇌졸중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부정맥은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건강검진 등을 통해 조기에 발견하고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두근거림(심계항진)이나 호흡곤란, 흉통, 현기증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더불어 뇌졸중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정맥 외에도 앞서 언급한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 흡연 등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뇌졸중과 부정맥의 주요 증상을 숙지해 두었다가 유사한 증상이 발생했을 시에는 빠른 판단과 행동으로 지체 없이 뇌졸중 전문의가 있는 병원을 찾아야 한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