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류하는 대전의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기존의 전면철거 방식보다는 원도심 등 마을 공동체 문화를 살릴 수 있는 방식전환이 필요하다.
전면철거방식은 앞으로 더욱 어려워질 수밖에 없고 소규모단위, 현지개량방식 등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방향성을 바꾸어나가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 지배적이다.
정재호 목원대(금융보험부동산학과)교수는 “기존의 지구지정 등 방식에서 존치관리 측면으로 접근해 나가야 한다. 사업지구를 과도하게 규제하지 않고 존치관리구역으로 관리하며 언제든지 다시 사업추진을 할 수 있는 여지는 남겨놓아야 한다”며 “그동안 도시재생사업은 민간에게 맡겨놓은 경향이 강했다. 기반시설 개선 등 현지개량방식으로 개선하고 주택은 증·개축 등 하는 방향 등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장기적으로 현지개량방식, 소규모 단위로 바뀌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또 “주민들이 희망하는 경우에는 사업을 재추진할 수 있는 여지는 남겨놓고 정부가 예산을 들여 기반시설 지원 등 시스템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백명흠 대전시 도시재생과장은 “사업지구가 해제된 곳은 존치관리구역이다. 주민이 원하는 데로 사업지구를 해제절차를 밟아나가야 한다”며 “실질적으로 추진 가능한 곳, 사업추진이 어려운 곳 등 주민의견을 수렴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박우석 LH 대전충남지역본부 도시재생사업부장은 “앞으로 수천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전면철거 후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여력도 부족하다. 대단위 개발의 장점도 있지만 경기침체 등 영향으로 사업추진도 쉽지 않다”며 “현지개량방식, 소규모단위 개발 등 도시정비사업에 대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만구 대한건설협회 대전시회 사무처장은 “민간이 사업성을 높일 수 있는 공공지원 등 방안도 필요하다”며 “앞으로는 전면철거 후 공동주택을 신축하는 것보다 마을문화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안 등 공동체 문화를 살려나갈 수 있는 소규모 단위 등 개발방식으로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조성수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