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과학벨트 수정안 합의 이후 존재감마저 잊혀졌던 기능지구 건설을 이제 차분하면서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 천안과 오송, 과학벨트를 자족기능의 축으로 활용하려던 세종시의 계획에도 차질이 생겨서는 안 된다. 세종시로서는 기능지구 유발 인구 등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어차피 거점지구의 핵심인 기초과학연구원의 입지 변경으로 과학벨트 사업 자체에 미치는 변화는 불가피해졌다. 상대적으로 기능지구 역할이 지식기반 사업 특화로 흐른 점 또한 부인할 수 없다. 그렇다고 논란과 갈등만 붙들고 있을 수는 없다. 늦은 만큼 더 충실한 추진 계획, 실효성 있는 육성책으로 답해야 한다.
해당 지자체들은 지금도 기초과학 연구 기반인 거점지구 사업화 기능 등 기능지구의 역할까지 가져간다는 우려를 하고 있다. 천안은 IT, 오송은 생명공학이 강점인 데 비해 상대적으로 세종시는 내세울 강점이 빈약한 측면이 없지 않다. 이런 부분에 대해서도 명확한 보완 대책을 세우기 바란다.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있어서도 그렇다. 이 역시 원론적인 윤곽을 그리는 데서 한걸음 나아가야 할 것이다. 기능지구의 융합과 신산업 기업 유치 및 지자체 차원의 과학벨트 연구 결과 사업화까지 구상해야 한다. 발전전략 마련과 함께 기능지구를 뒷받침할 편의시설, 비즈니스, 문화시설 등의 공급 계획이 수반돼야 함은 물론이다. 관련 정책 수립 때는 기능지구가 들어설 지방자치단체의 참여 보장은 필수적이라 하겠다.
해당 지자체 역할도 중요하다. 특히 기능지구 활성화를 위한 기술협의회 등을 통해 발전전략을 가다듬어야 한다. 세종시의 경우, 기존의 대학을 혁신자원으로 삼고 미진한 산업단지의 활성화에도 적극 활용하면 좋겠다. 거점지구의 변화 때문에 기능지구가 유명무실해지는 일은 있을 수 없다. 민선 6기가 출범하면 거점지구 입지인 대전시와 기능지구가 들어설 지자체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