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화되는 충남지역의 먹는 물 위기는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그만큼 예산과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로서는 상수도 교체와 상수도 위탁 사업 모두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충남지역 시군별로 자체적으로 먹는 물을 관리하려면 재정난과 부딪힐 수 밖에 없다. 그렇다고 상수도 교체 등을 위탁사업으로 진행하기에도 지역민들의 논란만 쌓이는 분위기다. 이제는 지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수질 변화에 촉각을 세우는 등 안정적인 수질검사를 추진해야 할 때다.
▲자체적으로 상수도 교체는 어려워=충남지역 시군에서 상수도관을 교체하거나 새로 마련하기 위해서는 일정규모의 자체 예산이 필요하다. 그러나 재정자립도 현황을 보면 자체적인 상수도 사업을 할 수 있을 지 의문만 남는다. 지난 2011년 충남지역 재정자립도를 보더라도 평균적으로 28.3% 수준에 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시·군별로로 서천군이 13.1%, 청양군 13.9%, 부여군 14.3%, 논산시 16.4%, 공주시 17.1%, 예산군 17.9%, 홍성군 18.2%, 태안군 18.2%, 금산군 18.6%, 보령시 19.9%, 계룡시 22.8%, 연기군 27.2%, 서산시 27.4%, 당진군 36.5%, 아산시 45.1%, 천안시 46.2% 순으로 재정자립도가 낮은 시군이 대부분이다. 상수도 사업을 자체적으로 할 수 없을 정도의 열악한 재정자립도를 보이면서 지역민의 먹는 물에 대한 신뢰도를 회복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그렇다고 상수도 위탁사업 역시 지역주민과 지자체, 사업자 간 입장차가 커 쉽지 않다.
▲체계적인 수질 검사 진행해야=오염된 지하수를 배제하고 상수도를 지역민에게 공급할 수 없는 상황에서 관련 업계에서는 체계적인 수질 검사를 진행해 어느 정도는 오염된 물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충남지역 시군의 경우, 현재에도 정기검사대상 지하수와 허가를 받은 지하수에 대해 1년 또는 2년 단위로 정기검사를 실시한다.
그러나 이같은 정기검사에도 빈틈이 있다. 지역별로 정기검사용과 허가용일 경우와 상수도 미보급지역이라는 확인서가 있으면 50%가량 정기검사비용이 감면된다. 이 과정에서 26만7700원의 검사비용을 내지 않는다면 강제로 검사를 종용할 수 없는 것으로 알려진다.
게다가 이전 검사에서 46개 전체 항목에 대한 검사를 진행했다면 다음 차례에는 5만2800원의 12개 기본항목만 받는 경우도 많아 수질 사각지대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를 낳는다.
이에 대해 지역민의 건강을 담보하는 먹는 물 관리에 대한 예산확보는 물론, 정기검사 일정 조율 등 충남도와 각 시군의 체계적인 수질 관리가 필요하다는 요구가 이어진다.
충남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기존의 수질 검사를 통해 먹는 물인지 여부를 가린다”며 “먹는 물 관리가 더 잘돼 충남도민 모두에게 깨끗한 물이 도달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경태 기자 biggerthanseoul@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