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둘러서 금방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5시간 뒤.
“현재도 원고와 씨름하고 있는 중입니다.”
스페인의 성가정 성당은 오랜 공사기간으로 유명하다. 10년 목표였던 1886년 시한을 12번 더 넘기고 아직 공사 중이다. 2026년 완공 예정도 그때 가봐야 안다. 계획과 현실은 다르다.
“발표 내용 정리 되셨습니까? 여쭤보려고 전화했습니다.”
“원고요? 아직 안 됐는데요.”
무계획 때문이 아니다. 머릿속으로는 늘 원고를 쓰고 있었다. 소요 시간을 과소평가하고 미래를 낙관적으로 예측한 '계획 오류'는 어쨌든 문제였다. 어떤 조사에서 최대 유혹에 57%가 일 미루기, 40%가 게으름 피우기로 나오긴 했다. 하지만 시간관리나 자기통제 실패로 오류지대에서 헤매지 않는다는 글공장 노동자들의 절규를 제발 이해해야 한다.
잘 써지면 잘 써지는 대로, 안 써지면 안 써져서 괴롭다. 오죽하면 작가를 감금하고 원고를 집필시키는 '간즈메(통조림, 가둠)'가 일본에 성행하겠는가. 책상 하나에 볼펜 몇 자루가 전부인 창고에 '통조림 당한' 개인적 경험으로도 신기한 마감효과를 익히 안다.
영감(靈感)은 이런 경황 속에 묻어오기도 한다. “신뢰란 하루아침에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 띄엄띄엄 본 드라마에서 주워들은 좌수사 이순신의 평범한 대사도 일종의 그런 촉매 작용을 했다. 마침 '신뢰'와 관련된 포럼을 앞두고 있었다. 영감이 오지 않으면 역시 자청해 영감을 만나러 가야 할 때도 있다.
“글 쓰는 놈들은 머리에 권총을 겨눠야 돼! 그러면 아이디어가 펑펑 솟아나거든.” 이런 살벌한 영화 대사가 있었다. 지지난해 논산으로 낙향한 박범신 작가는 옛날 절필 선언하면서 또 이랬었다. “권총을 뒤통수에 대고 쓰라고 해도 오늘부터는 단 한 문장도 쓸 수 없다.…”
원고 칠거지악에는 아이디어 빈곤을 첫째로 든다. 그냥 노는 나태, 시간이 넉넉하다는 오만, 퀄리티 부족에 따른 분노, 불후의 명작을 향한 환상, 너무 파고 싶은 욕심, 깔끔하게 마감한 동료에 대한 질투도 물리칠 적이다. 진도가 안 나가면 남과 비교하는 '외부적 시각'이 때에 따라 도움이 된다. 한데 비교 대상자들의 사정이 약속이나 한 듯 똑같았다.
행사가 임박해서야 기다리던 교수의 메일이 도착했다.
“먼저 원고가 늦어 심려를 끼쳐드려 대단히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다시 이어지는 기다림. 드디어 원고다!
“여기 저의 졸고를 보내드립니다. 너무 늦은 점 사과 말씀을 드립니다.”
이동하는 차 안에서 땀에 전 원고를 속독으로 훑는다. 발표할 내용이 종횡으로 정렬된 시점은 그 직후였다. “어떤 책, 논문에도 없는 독창적인 내용이더군요.” 옆자리 교수에게 엄지손가락을 세워 칭찬했다. 원고에 걸린 시간은 통찰과 숙고가 여무는 산고(産苦)의 시간이었다.
이럴 때 마감시간은 기사의 약(藥)이다. 그 교수에게도 '계획 오류'가 결코 아니었다. 쇠뿔은 단김에 빼라지만 온화한 불꽃이 빵을 맛있게 만든다. 돌다리는 두드려보고 건너야 좋을 일이 많다. 이 핑계 저 핑계, 오늘도 데드라인의 철조망을 아슬아슬 타고 넘는다.
최충식 논설실장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