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단추는 곧 인선될 분야별 위원의 면면들이다. 비록 민간위원이라 하더라도 조직의 성패가 걸려 있어 인사가 만사(萬事)라는 말은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기본 활동 방향은 소통의 장 마련, 문화예술 뒷받침, 정책적 지원 쪽에 맞춰질 듯하다. 편집·보도국장 오찬 등에서 나온 박근혜 대통령 발언으로 미뤄본 대체적인 윤곽이다.
현장과의 소통을 생각한다면 할 일이 참 많다. 힘 있는 목소리뿐 아니라 비주류의 목소리, 나아가 문화복지 차원에서 수요자인 국민 의견까지 공유해야 한다는 점도 그 하나다. 예술, 기술, 산업의 다양한 융복합은 필요하지만 과정에서 새로운 소외층이 생기지 않는 것도 중요하다. 지역문화를 먼저 챙기라는 주문도 곁들인다.
지방자치의 이념에 충실하면 문화예술의 지방화는 당연한 귀결이다. 다양한 문화현장 전문가들이 모여 장르별 나눠먹기나 한다면 그 순간 위원회를 만든 의미나 명분은 사라진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대한민국예술원,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한국민족예술단체총연합, 지역 단위 문화예술단체들과 관계 설정도 원만해야 할 것이다. 한낱 번거로운 옥상옥이 되지 않아야 한다.
여기서 문화예술의 지역균형발전도 생각지 않을 수 없다. 문화융성을 경제, 특히 창조경제와 동의어처럼 무리하게 연결 짓다 보면 부문 간 불균형이 생긴다. 문화의 창의성을 경제나 경영 사이드와 접목하는 노력을 포기하라는 뜻은 아니다. 문화강국은 문화적 삶 향유에서 문화외교, 세계적 트렌드 선도까지 영역을 확장할 때 가능하다.
문화융성은 문화 재정과 정책의 두 바퀴로만 굴러가지는 않는다. 어떤 이유에서건 지역 문화예술인들의 열망과 예술혼을 꺾지 않아야 한다. 문화융성위원회는 진정한 “문화현장에 대한 대통령의 눈과 귀”가 되길 바란다. 위원회 출범에 맞춰 지역 나름으로도 역량을 키워 문화적 융성과 부합을 준비할 때가 왔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