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인 1932년 충남도청은 36년간의 공주시대를 마감하고, 도청 소재지를 대전으로 옮겨 왔다. 이후 대전은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직할시로 승격 됨에 따라 균형발전 차원에서 도청 소재지의 '충남 이전론'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수년간의 논의 과정 끝에 새로운 도청 소재지가 내포신도시 홍성ㆍ예산으로 최종 결정됐다. 충남도청은 이제 2개월 후면 다시 충남의 품에 안겨 내포신도시의 환황해권 시대 거점도시로서 충남 발전의 주춧돌이 될 전망이다. 그러나 충남도청 이전에 따른 갖가지 숙제도 남았다. 도청 이전 부지의 활용을 비롯해 내포신도시 초기 생활권 구축 문제 등을 들 수 있다. 본보는 도청이전 배경과 도청부지 활용방안, 전남도청 신도시, 경북도청 신도시, 내포신도시 성공 조건 등 총 5회에 걸쳐 심층적으로 점검해 본다. <편집자 주>
▲충남도청처은 12월 내포신도시로 이전한다. 낙후된 지역의 개발과 환황해를 중심으로 비약적인 발전이 기대된다. |
도청이전 배경 및 의의=충남도청은 1896년(고종 33년) 공주에서 태동했다. 충청도가 충남ㆍ북도로 분리되면서 백제의 수도였던 공주가 36년간 도청 소재지 역할을 맡았다. 1932년부터는 대전이 두번째 소재지가 되면서 교통의 중심지로서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또 1989년 대전은 직할시로 승격돼 충남과 분리됐다.
반면, 충남은 심각한 도세 위축을 감수해야 했다. 행정의 비능률, 재정력 약화는 지역균형발전 저해 요인으로 부각됐다.
특히 도청이 충남의 남동쪽인 대전에 있다보니 서산과 태안, 당진 등 충남 서북부지역 도민들의 시간적, 경제적 낭비 등으로 도청 이전에 대한 주장이 꾸준하게 제기됐다.
급기야 2006년 2월 홍성군 홍북면과 예산군 삽교읍 일대가 도청이전 신도시 건설지역으로 결정되기에 이르렀다.
홍성ㆍ예산의 도청이전 신도시 결정 배경에는 도민의 동의와 함께 지리적으로 낙후된 지역을 균형적으로 성장발전 시킬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내포신도시' 명칭 선정=도청이전 예정지가 결정된 후 기존'충남도청 이전 신도시'라는 명칭만으론 다양한 특징과 매력을 가진 신도시의 마케팅 전략으로 활용하기에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따라서 도는 도내 시ㆍ군의 의견을 수렴하고 민간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명칭공모 평가위원회, 도 지명위원회의 심의와 자문 등을 거쳐 도청이전 신도시 명칭을 2010년 8월 '내포신도시'로 결정했다.
'내포신도시'는 내포문화권의 중심이라는 역사적, 지리적 특징을 반영하고 환황해권 시대의 선도 역할을 한다는 미래지향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받았다.
역사적으로 내포지역은 수운과 교통의 중심지로서 육지와 바다의 물산이 거래되는 경제적으로 번영했던 곳이다. 바다와 갯벌, 기름진 평야에서 생산되는 푸짐한 먹거리는 내포의 자랑이다.
때문에 내포문화권은 왕권 중심의 공주 부여지역과 대비되는 서민중심의 문화생활권을 형성해 왔다. 도청의 내포신도시 이전은 낮은 자세로 도민과 소통하고 환황해권 시대의 거점지역으로 발전하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개발 여건=내포신도시는 용봉산과 수암산 동측으로 대부분 완만한 구릉지이고 동쪽에 봉수산, 남쪽에 오서산, 북쪽에 가야산이 있다. 낙후된 충남 서북부지역을 균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배후 거점도시이면서 환황해권의 중심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여건도 갖췄다.
교통 여건은 서해안 고속도로에서 동측으로 13㎞, 당진~대전 간 고속도로에서 서측으로 8㎞, 장항선 철도에서 3㎞ 지점을 경유하고 있다.
수도권 전철의 신도시 연장도 추진된다. 신도시 주변으론 국도 1, 29, 40, 45호가 연결돼 수도권에서 1시간대, 영ㆍ호남에서 2시간대에 접근이 가능하다.
신도시 총 995만㎡의 토지 중 전ㆍ답이 429만9000㎡며, 787만㎡가 표고 50m 이하의 평탄한 구릉지이면서 813만9000㎡가 15% 미만의 경사로 돼 있다.
박태구 기자 hebalaky@
※본 기획취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 받아 이뤄졌습니다.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