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원자력연구원 김장렬 박사팀은 소지한 전자기기 부품검사를 통해 방사능 피폭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사진은 광자극발광 선량 측정 모습. |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장 정연호) 원자력방호안전부 김장렬 박사팀은 방사선량을 측정하는 선량계 없이 갑작스럽게 방사선에 노출됐을때 별도의 혈액 검사 없이도 휴대전화, USB, 노트북 컴퓨터 등 개인 휴대 전자기기 내 부품 검사를 통해 방사선 피폭 여부와 누적 선량을 빠르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김 박사 팀은 전자기기의 부품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저항소자, 발진소자, IC칩 등에 포함된 세라믹 물질이 방사선에 노출되면 내부의 전자에너지 상태가 변해 특정 파장의 가시광선을 쪼이면 자외선 영역의 빛을 방출하는 광자극발광(OSL) 특성을 띠는 것에 착안, 피폭 방사선량에 비례해서 방출되는 빛의 양을 측정함으로써 피폭 여부뿐 아니라 누적선량까지 측정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
개발된 기술은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이 수 시간 이내로 기존에 방사선 피폭 여부를 판단하는 데 활용돼온 '혈액 내 염색체 변이 해석법'의 수 일보다 월등히 빠르고, 측정 방법이 간편할 뿐 아니라, 방사선에 대한 감도도 높아 10 밀리시버트(mSv) 정도의 낮은 선량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발된 기술은 소형 전자기기뿐 아니라 PC, 태블릿, 자동차 등 세라믹 물질이 사용된 대부분의 생활 주변 기기 부품 소자에 적용 가능하다.
단, 피폭 검사를 위해서는 세라믹 물질을 분리해 내야 하기 때문에 기기 별로 재사용이 불가능하거나 수리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개발된 기술은 인체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이 아니라 개인이 일상적으로 소지하고 다니는 휴대 전자기기를 대상으로 한 간접 측정으로,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역학 조사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원전 주변 주민의 피폭 방사선량 평가에도 유용하게 쓰일 전망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올해 정부연구개발사업 우수성과로 선정되었으며 관련 논문이 이달 말 열리는 추계 한국원자력학회에서 우수 논문상을 수상할 예정이다. 또 측정 장치 제작 기술을 산업체에 이전해 상용화 준비를 마쳤으며, 광자극발광 특성이 일부 확인된 섬유, 머리카락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선량 복원에 활용 가능한 시료의 범위를 넓혀나갈 계획이다.
김장렬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방호안전부 책임연구원은 “생활 주변에서 쉽게 확보할 수 있는 물질을 통해 선량 복원 후 방사선 준위를 신속하게 평가해 적절한 의료적 처치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피해 규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통해 필요 이상의 사회적 혼란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권은남 기자 silver@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