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기야 교원단체가 '자발적 담임 맡기 운동'까지 벌일 정도다.
16일 지역 교육계에 따르면, 본격적인 교원인사가 단행되면서 일선 학교에서는 기존 교사와 전입 교사를 대상으로 학년과 담임 등 교내 교사의 업무 배정 절차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대전 외곽과 충남 시ㆍ군 일부 소규모 학교를 제외하고는 담임과 생활지도 등 주요 전담 교사 결정 과정에서 난항을 겪고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고학년 기피 현상이 여전하다. 학교폭력이나 교권침해 등에서 별문제가 없다고 할 수 있지만, 6학년 담임은 여전히 찬밥 신세다. 고령인 교사들이 저학년을 선호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전입 교사는 상대적으로 선택폭이 좁을 수밖에 없다. 전입한 30대 여교사는 “전입 결정이 나기 전부터 이미 해당 학교에서 교통정리가 다 됐다는 말을 들었다. 아무래도 5, 6학년을 맡을 것 같다”고 말했다.
중학교가 가장 심각하다. 학교폭력과 교권침해가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교사 대부분이 꺼리고 있다. 학교폭력 문제에 소극적으로 대처한 교사를 입건하는 사례까지 발생하자, 이 같은 현상은 더 심각해진 분위기다. 일부 학교에서는 담임과 보직 교사 결정과정에서 교장과 교감은 물론, 교사끼리도 적잖은 내부 진통을 겪을 정도다.
서구 모 중학교 교사는 “최근 인사위에서 업무 분담 회의가 열린 것으로 아는데, 생활지도는 아무도 지원하지 않았다. 해봤자, 피해만 본다는 인식이 강하다”고 전했다.
고교에서는 학년부장 등 모든 보직교사 자리를 채우기가 쉽지 않은 모양새다. 평일은 기본이고, 토요일과 일요일에도 밤늦은 시간까지 학교를 지켜야 하는 등 갈수록 환경이 악화되지만, 보상은 커녕 책임만 따르기 때문이다.
서구 A고 교장은 “1 년 내내 진학지도와 학생지도에 전력하다 보면 지치지 않을 수 없다. 하지만, 여전히 학부모 등 외부에서는 사명감만 강조한다”고 말했다.
생활지도권 확보와 담임 수당 인상 등 인센티브 확대와 보직교사에 대한 처우개선 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정부에 대한 비판 목소리도 크다. 권성환 전교조 대전지부장은 “무한한 책임과 기계적인 평가 잣대 때문에 교사들이 경쟁으로 내몰리고 있기 때문”이라며 “특히, 복수담임제 등 현장의 사정을 전혀 모르는 정책은 학교를 더욱 피폐하게 만든다”고 말했다. 안양옥 한국교총 회장은 “현실은 어렵지만, 첫 교단을 밟았을 때의 설렘과 다짐으로 돌아가 교단은 내가 지킨다는 자세로 자발적 담임교사 맡기 운동에 적극 동참해달라”고 호소했다.
윤희진 기자 heejiny@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