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로 인해 우리는 전 세계에서 나타나는 홍수와 가뭄, 해수면의 상승 등에 따른 재해상황을 어렵지 않게 접할 수 있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해결하기 위한 범지구적 노력 또한 자율에서 강제성을 부여하고 있고, 기후변화 요인인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에너지효율 46% 개선과 신재생에너지 비중 11% 확대를 내용으로 하는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수립했다.
에너지 공급의 탈(脫)화석화와 함께,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대한 의무할당제(RPS)를 2012년부터 시행할 계획으로 추진하고 있다.
2010년 말 기준, 우리나라의 발전설비 용량은 7600만㎾다. 에너지원별 비중을 보면 화력 67.1%, 원자력 23.3%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나머지 9.6%는 수력을 포함한 신재생에너지가 담당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발전설비 건설은 환경적인 측면보다는 건설단가가 낮고 에너지밀도가 높은 화력이나 원자력에 주력해왔다.
현재까지는 온실가스 의무감축국이 아니지만, 2013년 이후 의무감축국 지정이 확실시 되는 현실이다.
정부가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화력발전의 비중을 낮추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이기 위해 신재생에너지 개발을 장려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신재생에너지 중 국내 수력은 화력과 비교하면 설비규모가 갖는 한계 등으로 인해 생산단가는 높으나 석탄, 석유수입에 따른 외화 부담을 덜어 주고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사회·환경적 외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원 중 에너지밀도가 높고 경제성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가장 우수해 정부 보급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개발을 확대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수력발전은 2010년 기준, 553만㎾의 설비용량으로 연간 62억㎾h의 친환경 녹색에너지를 생산해 1000만 배럴의 유류 대체와 420만t의 온실가스 감축에 기여하고 있다.
수력은 현재 운영되는 보령과 횡성, 밀양, 부안댐을 포함한 모든 다목적댐에 적정용량의 발전설비가 설치돼 있다.
매년 전기를 생산하고, 동시에 전기 생산에 사용된 물은 하류의 농·공용수로 공급해 일석이조의 활용가치가 있다.
수력발전은 과거 대규모 댐에 적합한 1만㎾ 이상의 대수력이 주를 이뤘지만, 최근에는 중·소규모의 댐에 적합한 1만㎾ 이하의 소수력이 설치되고 있다. /윤희진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