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악의 피해…후유증 깊어
2. 원인규명 없는 대책 성공할까?
3. 축산업 체질개선도 필요
4.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대책은
▲후유증 깊어=가축 이동제한이 해제된 지 한달이 지난 6일, 전국 최대 축산단지인 홍성에는 구제역이 남기고 간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 있었다.
곳곳엔 빈 축사가 눈에 띄었고 가축 울음 소리도 줄어들었다. 대신 날선 긴장감이 감돌고 있었다. 구제역은 사실상 종료됐지만 피해가 워낙 커 언제든 재발생 가능성이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특히 구제역이 사람을 통해 전파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축사 주변에 대한 경계가 삼엄해졌다.
한 축산인은 “외부인의 농장 출입을 철저히 통제하고 있다”며 축사 출입을 차단하며 외부인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감추지 않았다.
이는 구제역으로 인한 피해가 너무 컸기 때문이다. 2010년 11월 경북 안동을 시작으로 경기와 충북을 거쳐 충남으로 확산된 구제역은 역대 최악의 피해를 낳았다.
지난 1월 2일 천안 젖소농가에서 처음 발생한 충남은 이번 구제역으로 모두 350건의 구제역 양성반응이 나와 소 2298마리, 돼지 46만 3726마리, 염소 69마리, 사슴 57마리 등 427농가 46만 6000마리를 살처분했다.
돼지의 경우 전체 사육두수의 40%가 땅에 묻힌 것이다. 이는 지난 구제역 피해와는 비교도 안되는 수치다. 2000년 4월 홍성의 구제역으로 1860여 마리, 지난 해 5월 청양에서 발생한 구제역으로 모두 6950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된 바 있다.
양돈협회 관계자는 “자식같이 기르던 가축을 모두 땅에 묻으면서 가축 사육농가들의 마음은 모두 피투성이가 됐다”며 “의욕을 불태우던 축산인들도 상처가 깊어 후유증이 오래갈 것 같다”고 말했다.
▲축산업 불신 초래=이번 구제역은 축산 종사자뿐만 아니라 축산업을 바라보는 소비자에게도 부정적인 인식을 심어줬다. 구제역 확산과 매몰지 주변 오염과 함께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고 확산을 차단하지 못한 축산업에 대한 불신이 자리잡은 것이다.
지난 해 발생한 구제역으로 충남에서만 모두 262억원(국비 156억원, 도비 25억원, 지방비 81억원)이 구제역 차단활동에 투입됐다. 대부분 초소를 운영하기 위한 소독약품과 인건비 등의 경비로 사용됐다.
하지만 이번 구제역을 통해 감염경로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은데다 방역초소 운영 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예산 낭비라는 지적이 팽배해졌다. 또 가축 살처분으로 인한 보상금도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살처분 가축이 늘어나 충남에서만 살처분 보상금 지급액이 1700억을 훌쩍 넘길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도 전염병 확산을 차단하지 못한데다 피해 보상금으로 대규모 예산이 지출되면서 축산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구제역 이후 돼지고기 가격이 큰 폭으로 오른데다 소의 경우 산지 소 가격은 하락했지만 소비자 구매 가격은 변동이 없어 축산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 김충완 대전충남한우협회 충남지회장은 “이번 구제역 피해로 인해 농가 스스로 방역활동을 강화해야 한다는 인식전환의 계기가 됐다”며 “축산 농가와 관련업계 종사자들은 축산업에 대한 '불신 분위기' 확산을 막기 위해 노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시우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