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23일 '한반도 지진과 원자력 안전' 주제 포럼에서 “한반도의 역사적 지진 기록이나 지체 구조 등으로 미뤄 규모 6.5 이상의 지진도 가능하다”며 “하지만 7.0 이상 지진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지 박사는 “한반도는 지질학적으로 중국 탄루 단층대와 여러 판 경계가 겹쳐 있는 일본 열도 사이에 놓여있다”며 “한반도 좌우의 이 두 지역은 매우 취약한 지질구조로 이번 일본 대지진을 비롯해 강진이 빈발하는 곳”이라고 설명했다.
또 지 박사는 “한반도는 현재 인도양판이 유라시아판을 미는 힘과, 태평양판이 유라시아판·필리핀판 등을 미는 힘을 동서 방향에서 동시에 받고 있다”며 “약한 중국 탄루 단층대와 일본 열도의 지각에서 지진 등의 형태로 먼저 에너지가 분출되면서, 한반도는 힘을 받더라도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축적될 여지가 적고 강진 가능성이 작아진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반도 강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은 과거 역사적 기록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1643년 7월 24~25일 울산 동쪽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 땅에 구멍이 났고 이후 물이 솟아 높이 모래가 쌓인 것으로 기술하고 있는데, 각 학자 및 분석 기관에 따라서는 이 지진의 강도를 7~9까지 평가하고 있다.
고려사에도 불국사와 석가탑 등이 지진으로 붕괴해 다시 지었다(중수)는 기록이 있다. 경주 동쪽의 강진을 시사하는 것으로 실제로 지질학적 조사에서도 경주 동쪽 지역에서 활성단층의 흔적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지 박사는 과거 일본 및 중국 강진시, 1~10년 안에 우리나라에도 지진이 발생했다는 가설도 소개했다.
우리나라에서 지진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은 추가령·옥천·양산 단층 부근이 지목됐다.
한편, 이날 토론자들은 공통적으로 이번 원전 사고 이후 과연 정부가 일본으로부터 정확한 정보를 받았는지, 국제적 원전 정보 교류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에 우려감을 표시했다.
/배문숙 기자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