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8년 설립된 모비다임은 그해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했고, U-Health 장비와 서버간 유무선 인터페이스 독자 개발기술을 보유하게 됐다.
2008년 12월 수지화합물 제조공정의 품질향상을 위한 무선모니터링을 개발한 모비다임은 다음해 1월 차량용 Black-Box 생산 로열티 계약을 체결했고, ETRI 공동연구 개발 과제 사업에 참여하는 시기에 대전테크노파크와 인연을 맺게 된다.
지난해 2월에는 대전테크노파크 창업지원 사업화 기획과제(R&BD)에 선정된 것을 비롯해 테크노파크 ITㆍSW기업 Jump-Up 지원사업 선정, 전통산업 육성을 위한 첨단화 지원사업 선정, 창업지원 사업화 사업과제(R&BD 2차) 선정 등의 성과를 거뒀다.
모비다임의 보유기술은 원격진료 관련기술을 비롯해 RFID 관련 기술, S/W 개발 방법론 Tool Kit, USN 생산공정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등으로 구분된다.
원격진료 관련기술 분야에서는 각종 생체정보측정장비 Interface 기술과 USN Interface 기술, 의사처방 및 진단시스템(OCS, EHS) 연동 기술 등을 보유, 이는 한방 맥상파 측정기와 생체정보 입력단말기 제조, 이동식단말기 제조 등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모비다임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하드웨어에서는 다양한 프로세서를 이용한 임베디드 회로설계 기술을 비롯해 네비게이션 단말기 회로설계 기술, DMB 회로 설계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고, 소프트웨어 부분에서는 제품개발 기술과 임베디드 OS Porting 기술, WinCE Device Driver 설계 기술, Bluetooth 프로토콜을 이용한 어플리케이션 개발기술 등을 갖추고 있다.
▲ 센서 데이터 모니터링 장비. |
우선 지문인식 시스템 사업의 경우 지문인식을 통한 근태, 출결관리로 정확한 근무시간 산출, 철저한 출입통제 기능(출입기록 처리, 보안사고 예방), 근태 데이터의 ERP연동 등이 가능하며, 배재대학교 특근관리 시스템에 운용 중이다.
또 Ubiquitous Sensor Network 사업은 생산공정 무선 모니터링 시스템을 비롯해 각종 센서, 제어포인트를 구성한 실시간 제어와 감시, 생산공정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한 엄격한 품질관리와 효율의 극대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융ㆍ복합화에 의한 차세대 산업으로 ‘방재산업’에 적용되고 있다.
이밖에도 U-Health 분야에서는 원격 진단용 생체정보 단말기와 공공 기관용 원격진료 솔루션(C/S, WEB 방식), 공통 Library 구축(u-Health care 등) 등에 적용되며, 임베디드 플랫폼 사업은 차량용 AVN 어플리케이션 개발, 임베디드 하드웨어ㆍ소프트웨어 포팅 및 튜닝 등에 활용되고 있다.
황재용 대표는 “그동안 모비다임은 국책과제로 대전테크노파크의 전통산업 육성을 위한 첨단화 지원사업과 함께, 전자통신연구원의 공동연구 개발과제 등을 맡아 왔다”면서 “앞으로 기술력을 인정받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주)모비다임의 특허기술은...
▲발명의 명칭 =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REMOTE EQUIPMENT ADAPTIVE PLUG-AND-PLAY PROTOCOL FOR DISASTER PREVENTION)
▲기술분야 = 이번 발명은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통신절차)에 관한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방재정보 수집센서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서버에 전송하고 이를 저장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동적이며 복잡한 USN 환경에서도 시스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한 방재용 원격센서 능동접속 프로토콜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 재해 발생 상황을 미리 탐지하고 예방하며 재난이 발생한 경우 그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수행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방재 업무에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차세대 통신망인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기술이 접목되고, 이러한 기술은 효과적인 방재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데 활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발명의 효과 = 다양한 종류의 방재정보 수집센서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서버에 전송하고, 이를 저장 및 활용할 수 있게 할 뿐만아니라, 다수의 센서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센서나 허브, 서버, 사용자 등 전체 시스템의 각 구성요소를 정해진 절차에 따라 동작되게 함으로써 복잡한 USN 환경에서도 시스템 변화에 능률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박전규 기자 jkpark@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