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단계 헬스케어동 포함 세종충남대병원 조감도. /세종충남대병원 제공 |
세종시는 출범 이후 지속적인 성장으로 인구 35만 명에 달하지만, 불어나는 몸집에 비해 '응급의료 취약지역'으로 분류돼왔다. 특히, 코로나19 발생 이후 지역 내 음압병상을 갖춘 감염병 전담병원이 없어 환자들은 대전과 공주 등으로 입원 치료를 받아야 했다.
이 같은 시민들의 의료 사각 불만과 불안을 해소하고, 감염병으로부터 안전한 지역사회를 만들 수 있는 병원의 역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감염병에 특화된 격리병상과 청정 시스템
세종충남대병원은 개원 후 본원보다 많은 42곳의 음압격리실을 운영한다.
감염내과병동 4곳·소아병동 1곳·중환자실 2곳·신생아중환자실 4곳·외래진료실 2곳·외래검사실 2곳·응급의료센터 2곳·수술실 1곳 등 18개의 음압격리실을 확보했으며 1인 격리병상으로 만들어진 중환자실 24곳은 음압 적용이 가능해 유사시 음압격리실로 활용된다.
또한, 세종충남대병원은 보행자·응급환자·감염환자 출입구가 완전히 분리돼 있으며, 손가락 구조로 설계된 청결·준청결 복도 구분은 감염방지를 위한 특화된 설계로 손꼽힌다.
모든 수술실에는 감염예방을 위한 공기정화 필터를 설치했으며, 층별로 분리된 공기 청정기가 가동된다.
세종충남대병원 응급의료센터 전경. /세종충남대병원 제공 |
세종시민들은 세종충남대병원의 공공적 역할로 중증질환 치료 역량확보와 응급의료센터 서비스를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중증질환 치료 역량확보'에 대한 시민 기대가 36%로 가장 높았고, '응급의료센터 운영을 통한 서비스제공'이 29%로 뒤를 이었다.
이 같은 시민들의 요구에 발맞춰 세종충남대병원은 심뇌혈관 등 급성기 중증질환 시급성으로 심뇌혈관센터와 응급의료센터를 운영한다. 응급의료센터는 성인과 소아의 진료를 구분했다. 소아 환자는 소아과 전문의가 365일 24시간 진료하게 된다.
또한 생존율이 높고 환자 증가율이 높은 암종과 다빈도이면서 생존율이 높은 암종에 대해 다학제 진료체계, 원-스톱 프로세스 구축, '뷰레이(ViewRay)' 운영으로 수준 높은 진료를 펼칠 예정이다.
세종충남대병원이 개원과 함께 운영하는 '뷰레이'는 자기공명영상(MRI)과 방사선치료 시스템을 결합한 최첨단 방사선 치료기다. MRI를 이용해 종양과 정상 장기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에 맞춰 치료 부위에만 정확하게 방사선을 쏘는 유일한 장비다.
이재환 진료처장은 "세종충남대병원이 도입하는 뷰레이는 현재 아시아권 병원 중 4곳에서만 운영되며, 일본 2대, 서울대병원과 인천성모병원에서 각각 1대씩 운영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처장은 특히 "세종충남대병원이 도입하는 모델인 메리디안(MRIdian)은 1000만달러(120억 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세종충남대병원 1층 로비 안내 데스크와 조형물. /세종충남대병원 제공 |
▲앞으로의 계획과 과제
세종충남대병원은 개원 시 의사직 102명, 간호직 390명, 보건직 134명 등 829명이 근무하게 된다. 병원 측은 애초 134명의 의료진 운영을 목표로 잡았지만, 일부 과는 전국적으로 교수 인력을 구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2021년 의료기관 인증평가와 2023년 인턴선발, 2024년 전공의 선발 등 2027년 상급종합병원 지정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개원 이후 1단계 건물과 연결 브릿지로 2단계 헬스케어동이 증축된다. 건강검진센터·연구센터를 포함한 6층 건물로 내년 2월 완공된다.
병원부지가 타 지역 대학병원에 비해 협소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병원 측은 "세종시의 인구증가와 의료시설의 상태를 고려할 때 추가병상과 면적을 확보해야만 한다"며 "세종시와 협의해 뒤쪽 공원을 활용할 방안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나용길 병원장은 "코로나19로 인해 인력충원과 장비수급이 어려워 개원이 지연됐지만, 완벽한 준비를 위한 시간이었다"라며 "환자들에 설명 잘하는 병원, 지역민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진정성 있는 병원이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고미선 기자 misunyda@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