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충청대망론 무위 그쳤으나 실현 가능성 확인
판 커진 충청 정치..“정치권 힘 모아야 민심도 함께 성장”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충청대망론’은 무위에 그쳤다.
지역민들이 ‘장미대선’이라 불린 지난 대선에 거는 기대는 어느 때보다 컸다.
본격적인 대선 국면에 접어들기 전부터 인물, 명분, 여론 등 모든 상황도 유리했다.
그러나 주자들은 충청의 호응과 단합을 끌어내는데 실패했고, 대망론의 날개는 꺾이고 말았다.
자연스레 지역민들의 실망과 아쉬움은 2022년 20대 대선을 향한 기대로 변하고 있다.
물론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 1년차인데다 국내외 현안이 산적하다는 점에서 ‘아직은 이르다’는 시각도 있다.
영호남 패권주의를 넘어서기 어렵다거나, 충청권의 단합은 불가능하다는 비관적 전망도 들린다.
하지만 지난 대선을 모멘텀 삼아 충청대망론의 불씨를 살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더 높다.
충청대망론은 아직 끝나지 않은, ‘현재진행형’이기 때문이다.
먼저 지난 대선에서 대망론은 무산됐지만 실현 가능성을 확인했다.
충청은 그동안의 ‘캐스팅 보트’ 역할을 넘어 문재인 대통령에게 압도적인 지지를 보냈다.
문 대통령은 충청권 일부 기초자치단체를 제외한 모든 시군구에서 승리를 거뒀다.
충청이 특정 후보에게 표를 몰아주는 전략적 투표 행위에 나선 셈이었다.
이 때문에 충청 출신 후보에게 표가 집중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한 여권 인사는 “예전처럼 표를 골고루 나눠주기보단 한 후보에게 몰아줌으로써 공약 실현 가능성을 높이고 충청의 정치적 존재감을 키운 결과를 얻게 됐다”고 설명했다.
동시에 충청 정치의 판이 커지고, 힘도 붙었다.
무엇보다 ‘맨파워’가 막강해졌는데, ‘전국구 정치인’으로 발돋움한 안희정 충남지사가 먼저 꼽힌다.
충남지사직 3선 도전과 여의도 입성, 당권 도전 등 다양한 선택지가 그 앞에 놓여있다.
‘의회주의자’를 자처하는 5선의 박병석 의원은 후반기 국회의장직에 희망을 갖고 있다.
대표적 충청권 친문인 박범계 의원은 민주당 적폐청산위원장을 맡으며 주가를 올리는 중이다.
양승조 국회 보건복지위원장과 민주당 박완주 수석대변인, 강훈식 원내대변인도 차기 주자로 주목받고 있다.
정우택 한국당 원내대표와 정진석, 김태흠, 정용기, 이장우 의원은 충청을 넘어 보수 진영의 기대주로 분류된다.
보수를 대표할 주자로 대법원 판결을 기다리는 이완구 전 국무총리를 주목하는 이들도 많다.
지난 20대 총선에서 충청권 국회의원 의석수가 27석으로 늘은 것도 귀중한 자산이다.
내년 6·13 지방선거에서 지방의원 의석수도 증가되는 만큼 ‘충청 정치판’은 더욱 힘을 키울 전망이다.
충청권 인구가 늘고 있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지난해 기준 충청권 인구는 542만여명으로 호남권(524만여명)과 대구·경북권(518만명)을 앞섰다.
표밭이 점차 넓어져 충청이 독자적인 ‘킹메이커’ 역할에 나설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보완하고,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
무엇보다 부족한 응집력을 키워야한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지난 대선 당시 반기문 전 유엔사무총장은 기반 마련에 실패해 대권 레이스에서 이탈한 바 있다.
반 전 총장이 집중포화를 맞을 때 충청 보수 진영은 ‘이리 재고, 저리 재며’ 나서길 주저했다.
안 지사도 조직력 열세로 당내 경선 문턱을 넘지 못했다.
민주당 충청권 의원들이 ‘친안’과 ‘친문’으로 갈렸기 때문이다.
충청 정치권이 뭉치지 못한다면 다음에도 대망론이 무위에 그칠 것이란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20대 대선까지 끌고 갈 지역별 어젠다 설정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먼저 의제를 설정하고 실현하려는 노력을 보여야만 지역민들의 관심과 믿음을 얻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 과정에서 세종역 KTX 신설 등 지역 갈등이 해결되고 충청 정치권이 공조체계를 구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충청대망론에 입혀진 ‘지역 프레임’을 걷어내는 일도 과제다.
단순한 정치논리를 넘어 이념·지역대결을 해소하는 대승적 차원의 재설정이 필요하다는 게 정치권의 중론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19대 대선에서 충청대망론이 무산된 사실은 뼈아프나 보다 높아진 실현 가능성을 확인한 점은 고무적”이라며 “하나로 뭉치는 충청 정치권과 지역민들의 단결된 마음만이 대망론의 실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송익준 기자 igjunbab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