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빛으로 구동하는 실리콘 나노선 트랜지스터 |
고해상도 카메라, 빛으로 계산하는 신개념 컴퓨터 적용 기대
빛으로 작동하는 신개념 ‘나노선 트랜지스터’가 개발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고려대 박홍규 교수 연구팀이 오직 빛으로만 전기 신호를 제어하고 효율적으로 전류를 증폭할 수 있는 나노선 트랜지스터를 최초로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나노선은 단면 지름이 나노미터 단위, 길이는 마이크로미터 단위인 1차원 형태의 나노 구조체로서 레이저ㆍ트랜지스터ㆍ메모리ㆍ화학감지용 센서 등에 사용된다.
트랜지스터는 현대 전자기기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 부품 중 하나로 전기 신호의 증폭 작용과 스위치 역할을 한다.
기존 트랜지스터의 동작 효율을 높이고자 나노 크기로 제작하거나 빛을 쪼여주는 등 다양한 연구가 진행됐다.
하지만, 복잡한 공정과 낮은 수율 때문에 상용화가 어려웠다.
연구팀은 실리콘 나노선에 다공성 실리콘을 부분적으로 삽입해 빛만으로 전기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나노선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다공성 실리콘은 내부에 수 나노미터(1㎚·10억분의 1m)의 수많은 작은 구멍을 지닌 것으로, 전기가 거의 흐르지 않는다.
연구팀은 이 같은 전기적 특성을 이용해 빛을 쪼여 흐르지 않는 전류가 엄청나게 증폭한다는 점을 최초로 발견했다.
또 하나의 실리콘 나노선 안에 두 개의 다공성 실리콘을 갖는 트랜지스터를 제작해 새로운 논리 회로를 구현했다.
게다가 다공성 실리콘을 여러 개 포함하는 얇은 나노선 트랜지스터를 제작해 1마이크로미터 미만의 높은 분해능으로 매우 약한 빛을 검출할 수 있는 고성능 광검출기(광신호를 검출해 전기 신호로 바꾸는 소자)를 구현했다.
박홍규 교수는 “다공성 실리콘을 원하는 곳에 배치하고 빛을 필요한 위치에 쪼여주기만 하면 나노선 하나만으로 모든 전자 기기들을 간단히 제작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며 “매우 민감한 고해상도 카메라, 빛으로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신개념의 컴퓨터 개발 등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지난 8일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실렸다. 최소망 기자somangcho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