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의 원리. 일식 때는 태양과 지구 사이에 달이 위치해 지표면에서는 태양이 달에 가려져 보인다. 이번 개기일식은 지표면 상에서 약 100km 폭으로 진행된다. |
미 대륙 가로지르는 개기일식 99년 만에 처음
천문연, NASA와 코로나 그래프 특성 연구
21일(현지시각, 한국시각 22일) 미국에서는 서부 태평양 해안부터 동부 대서양 해안까지 90분동안 개기일식이 진행된다.
한국천문연구원(이하 천문연)은 와이오밍주 잭슨시에 개기일식 원정 관측단을 파견해 개기일식 때 관측이 가능한 코로나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일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가리는 현상으로 태양의 전체를 가리는 것이 개기일식이다.
개기일식은 지상에서 태양의 대기층을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다.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면 평소 태양의 밝은 광구 때문에 관측이 불가능한 대기층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이는 지구에 영향을 주는 태양 우주환경 연구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천문연은 미국의 개기일식 관측지역 중에서 기상조건과 개기식의 지속 시간, 혼잡도를 고려해 작년 9월 와이오밍주에 위치한 국립공원 내 제한지역을 선택했고, 잭슨시로부터 사용 승인을 받았다.
이번 개기일식에서 천문연은 NASA와 공동 개발중인 코로나 그래프를 활용해 코로나 관측을 시도한다. 관측단은 백색광 관측, 백색광 편광관측, 내부 코로나 관측, H-alpha편광관측을 동시에 수행해 코로나의 특성을 연구할 예정이다.
개기일식은 잭슨시 기준으로 8월21일 10시17분부터 13시1분까지 진행된다. 이번 개기일식은 북미와 중미 및 남미 북부지역 그리고 유럽 서부, 아프리카 서부에서만 관측 가능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다. 미국에서 대륙을 가로지르는 개기일식은 1918년 이후 99년 만이다.
최성환 천문연 박사는 “개발 중인 코로나그래프가 완성되면 기존 장비가 가능했던 코로나의 형태학적 관측 외에서도 태양풍의 속도 등 여러가지 자료를 얻을 수 있게 돼 지구 주변의 우주환경 예보 적중률을 높이는데 기여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음 개기일식은 2019년7월2일 태평양, 칠레, 아르헨티나 지역에서 관측 가능하다.
한반도에서 볼 수 있는 개기일식은 2035년 9월2일 오전 40분께 북한 평양과 강원도 일부에서 관측할 수 있다. 이해미 기자 ham7239@
▲ 태양의 내외부 구조. 중심에서부터 바깥쪽으로 핵, 복사층, 대류층, 광구, 광구, 코로나 등이 있다. 태양 중심에서 광구로 나아가며 온도는 낮아지지만 대기층인 코로나에서는 수백만 도까지 가열된다. 이러한 원인은 아직 알 수 없으며, 개기일식 때 관측되는 코로나의 연구를 통해 밝혀질 것으로 기대한다. 코로나에서 가속된 전자는 지구 주변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
▲ 천문연이 개발하고 있는 차세대 코로나그래프는 차세대 태양관측위성 Parker Solar Probe가 활동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더 넓은 영역을 관측하게 된다. |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