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구금, 한국전쟁엔 아픈 역사의 현장
대전시 중구 중촌동에 위치한 형무소 터.
지난 1919년 5월 1일 개소했을 때는 그 해 3·1운동에 참가한 한국인들을 수감하기 위해 만든 감옥 중 하나였다.
일제는 철도 개통으로 전국 어디에서나 수인들을 수송할 수 있는 편리함을 갖췄다는 이유로 대전을 선택, 총독부령으로 대전감옥을 만들었다.
4년 뒤인 1923년 교도소였던 명칭은 대전형무소로 이름을 바꿔졌고, 수많은 독립지사들을 가뒀다.
애초부터 건립의 취지가 독립운동가와 사상가를 수용하기 위한 것이었던 만큼, 형무소에는 중구금시설도 갖췄고, 내부에서의 탈출을 막기 위해 이중벽이 둘러졌다.
붉은 담벼락만 아니라 일제는 혹시나 모를 탈옥에 대비해 망루도 세웠다.
1939년에는 시설이 확장돼 2400여 명에 이르는 독립운동가가 구금됐고, 이 가운데 도산 안창호 선생을 비롯해 여운형, 김창숙 등도 옥고를 치뤘다.
대전형무소는 광복 이후에도 존립했다. 한국전쟁 당시인 1950년 7월 형무소에 수감돼 있던 1800여 명이 산내면 골령골(동구 낭월동의 옛 지명)에 끌려가 학살됐다.
같은해 9월엔 연합군에 밀려 패퇴하던 북한군에 의해 1300여 명의 양민 등 6000여 명이 무참하게 죽임을 당하는 사건도 벌어졌다. 우물에 생매장당한 이도 있었고, 대부분의 시신이 여러 곳에 가매장된 것으로 알려졌다. 1961년 형무소는 재차 교도소로 개칭됐으며, 84년 유성구 대정동으로 이전하기까지 유지됐다.
아파트 단지와 인접해 있고, 일부 청소년들의 탈선 장소로 악용되는 등 현재는 흉물이라는 비난도 받는 시설이지만, 민족의 아픈 역사와 기억해야할 유산이란 얘기다.
대전시가 이런 대전형무소 터를 주목하고 나섰다.
비극적인 장소지만, 역사를 되짚어 교훈을 얻는 역사공원으로 만들기 위해서다.
즉, 형무소 터를 통해 자유민주주의의 소중함과 나라사랑의 참된 뜻을 유지시키도록 하자는 취지다.
우선, 시는 형무소 망루 앞에 안창호와 여운형의 전신 동상을 설치한 포토전을 조성할 방침이다. 우물과 120년 수령 추정의 왕버들나무 주변을 정비하고 옛 형무소 정문을 재현해 배치하는 구상도 세웠다. 흔적만이 아닌 형무소 모습을 일부나마 복원한다는 의미다.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민주화운동기에 이르기까지 한국 근현대사를 통틀어 시대별로 형무소에 얽혀 있는 수감인물과 발생한 역사를 중심으로 한 스토리도 개발, 스토리 월에 소개할 계획이다.
여기에 시티투어 버스를 활용, 형무소 터와 국립대전현충원, 거룩한 말씀의 수녀성당, 옛 충남도청, 산내 골령골 등을 잇는 관광코스도 마련키로 했다.
이른바 ‘대전판 다크 투어리즘’이다.
시는 문화재 형상변경 심의 및 콘텐츠 관련 저작권 사용 추진 절차에 돌입한 상태다.
다만, 인근 주민들과 공존 여부가 향후 사업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앞서 시가 지난 4월 형무소 터를 역사공원화하기 위한 계획을 밝혔을 때도 일부에서는 시설 존치에 대한 불편한 감정을 감추지 않은 바 있다. 강우성 기자 khaihideo@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