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향배(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
선악의 개념이 어떠하든 간에 매일 끊임없이 누군가는 선을 실천하고 누군가는 악행을 저지른다. 세상이 유지되는 비결이다. 악행은 범죄로 이어져 세상의 질서를 어지럽힌다. 악이 세상을 어지럽히는 것을 막기 위해 우리는 선악을 판단할 수 있는 양심과 도덕을 교육하고 경찰과 검찰 법원 사법부 등을 설치하여 범죄행위를 미연에 방지하고 범죄자를 처벌하고 있다.
사람들은 이 세상에서 모든 악이 사라지기를 원한다. 그러나 불행히도 유사(有史)이래로 한순간도 악이 사라진 적은 없다. 한때는 범죄와의 전쟁을 하며 세상에서 악을 뿌리 뽑으려고 애썼지만 여전히 수많은 악이 사라지지 않고 공존한다. 그렇다면 과연 이 세상에서 악은 없앨 수 있는 대상인가 하는 문제에 직면한다.
사실 선은 악을 상대로 한 말이다. 악이 없다면 선도 없다. 선악은 마치 정반대의 개념인 것처럼 보이지만 동전의 앞면과 뒷면처럼 늘 한 몸으로 따라다닌다. 예를 들면 이번에 개혁의 대상으로 거론되는 검찰은 범죄자를 색출하는 대표적인 기관이다. 그들의 권력은 국가로부터 주어졌지만 가만히 살펴보면 사회적 파장을 일으킬 수 있는 범죄자를 색출했을 때 강해진다. 검찰의 정의 실현은 범죄자를 법에 기준하여 정당하게 처단하는 일이다. 그렇다면 아이러니하게도 범죄자는 검찰이 존재할 수 있는 가장 근원적인 힘이다. 범죄자가 없다면 검찰 조직이 과연 필요할까. 이런 관점으로 볼 때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범죄자는 검찰의 고객인 것이다. 다시 말하면 악(범죄자)의 기반위에 선(검찰)이 서있는 형상이다.
선악은 종교에서 말하는 것처럼 천사와 악마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욕망에서 판가름된다. 인간의 욕망 그 자제가 나쁜 것은 아니다. 우리가 자신의 꿈을 발전시켜 사회적으로 실현하려는 뜻과 부귀공명을 이루어 잘 살려는 의지가 욕망에서 나온다. 다만 그것을 추구하는 방식이 그릇되거나 지나치게 되면 누구나 악으로 갈 소지가 다분하다. 선악의 갈림길은 결국 자신의 욕망을 어떻게 관리하는가에 달려 있다. 선비들은 욕망을 조절하기 위해 수양하고 공부했다.
욕망의 인간은 지위고하에 상관없이 누구나 악행을 저지를 수 있다. 특히 능력과 권력을 가진 자의 삐뚤어진 욕망은 사회적 파괴력과 영향력이 더욱더 크다. 앞으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이다.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고 영생을 도모하며 기술융합을 통해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시대이다. 인간의 욕망과 융합기술이 결합할 때 어떤 시대가 펼쳐질 지 아무도 모른다. 인간의 욕망을 관리할 수 있는 인성 교육이 더욱 중요해지는 대목이다.
이향배(충남대 한문학과 교수)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