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안화력발전소 |
화력발전소와 원자력시설 밀집 충청권…
미세먼지 감소ㆍ원자력 안전 확보 긍정적
신재생에너지 안착시킬 방안 지자체 협력 통해 고민 필요
(상) 충청, 신재생에너지 현주소
(중) 실현 가능성을 판단한다
(하) 해답은 과학기술에 있다
문재인 정부가 신(新)에너지 정책을 펼치고 있다.
석탄화력발전과 원자력발전에 의존한 기존 에너지 패러다임을 풍력, 태양광, 액화천연가스(LNG) 등 친환경ㆍ신재생에너지 형태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충청지역에는 화력발전소가, 대전지역에는 원자력발전소는 아니지만 원자력 시설이 밀집해 있다.
신에너지 정책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대전ㆍ충청권의 미래를 조망해 볼 필요성이 절실하다.
중도일보는 새 정부의 신에너지 정책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 신재생에너지 도입 가능성, 문제점, 대응방안, 전문가 의견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편집자 주>
충청권에는 당진ㆍ보령ㆍ서천ㆍ태안 등에 화력발전소가 밀집해 있다.
당진화력발전소는 1∼10호기가 6000MW의 설비용량을 갖고 있으며, 올해 가동을 시작한 9ㆍ10호기는 2000MW 규모다.
태안화력발전소는 5430MW 규모에 달하는 10기를 운영 중이다.
1983∼1984년에 지어진 보령화력 1ㆍ2호기, 서천화력 1ㆍ2기는 노후 화력발전소로 지난달 일시적으로 가동이 중지된 상태다.
화력발전소는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꼽힌다.
문재인 정부의 ‘탈(脫)석탄’ 정책은 단순 충청권 미세먼지 문제 해결책이 아닌 전국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높다.
대전에는 한국원자력연구원, 한전 원자력연료㈜ 등 원자력 관련 기관이 다수 포진해 있다.
‘탈원전’시대 선언에 원자력연구원을 둘러싼 원자력 안전 현안이 해결될 수 있다는 지역의 기대가 크다.
원전가동이 중단되면서 지역에서 원전 해체관련 연구개발(R&D) 기술에 대한 활발한 투자와 연구개발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충청권에서의 풍력ㆍ조력ㆍ바이오매스ㆍ태양열 등 친환경 에너지 사용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다수다.
친환경 에너지 발전 형태별로 봐도 지역에서 성공한 사례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풍력 에너지는 태안에서 5MW 규모 발전기 18기를 설치하는 사업이 검토됐지만, 올해 2월 무산된 바 있다.
근본적인 이유는 조성 예정지의 풍속 때문이 아닌 지자체의 ‘여건상 부적합’ 결정 때문이었다.
가로림만에서는 조력발전소 건설과 관련해 지속적인 논란이 있었다.
이후 사업은 원점으로 돌아가 지난 3월 자연환경 보전ㆍ관리, 생태체험ㆍ학술의 장 등을 만들고자 연구용역에 들어갔다.
신재생에너지로 분류되는 바이오매스 에너지도 충청권에서 자리 잡는데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다.
당진은 국내 최대 바이오매스 발전소가 위치한 곳이지만, 바이오매스 연료로 쓰이는 우드펠릿이 연소 중 미세 먼지를 유발하는 질소산화물과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벤젠 등을 생성한다는 게 알려져 논란이 일파만파 번지고 있다.
태양광 발전이 가장 희망적이다.
공주에는 내년 12월까지 3MW의 태양광 발전소와 6MW의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다.
또 대전 내 태양광 발전 사업도 증가 추세로 2007년부터 현재까지 대전시가 허가 한 상업용 태양광 발전 사업체 수는 196개, 설비용량은 24MW 규모로 나타났다.
이 같은 신에너지 정책에 대전ㆍ충청권이 함께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다.
정환도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은 “석탄화력발전소로 인한 미세먼지 문제나 복합한 에너지 문제들은 중앙정부 또는 지자체 한 곳만이 나서서는 해결할 수 없다”면서 “대전ㆍ세종ㆍ충남ㆍ충북 등 여러 지자체가 함께 나서 협력해 풀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최소망 기자somangchoi@
중도일보(www.joongdo.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금지